![](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22/20150722135536444811.jpg)
[박원순 서울시장이 22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동(洞) 주민센터를 복지와 보건, 주민참여가 융합된 주민밀착형 거점으로 탈바꿈시킨다. 2018년까지 사회복지‧방문간호 전문인력을 2배 수준으로 늘려 자치구에 배치, 복지사각지대 완전해소를 꾀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2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복지서비스 패러다임이 과거 주민의 신청을 받아 제공하던 것에서 찾아가는 방식으로 본격 전환된다"고 밝혔다.
이번 변화는 △보편적복지 대상 확대 △나만의 복지 플래너가 촘촘히 찾아가는 관리 △복지상담전문관이 어려움 듣고 해결 △주민 주도의 마을생태계 지원 △동주민센터 공간 탈바꿈 등이 골자다.
먼저 노령층 첫 진입 연령인 65세 도래 어르신과 출산 가정을 전국 최초로 찾아가는 복지 수혜대상에 포함시켰다. 어르신의 경우 혈압‧혈당‧우울‧치매 등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노후복지 안내 및 상담 등을 벌인다.
출산 가정에는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산모‧신생아 건강 평가부터 육아 교육 및 산후 우울 스크리닝은 물론 보육정보 안내까지 제공한다. 만일 임산부의 산후 우울 위험도가 높을 땐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의뢰하게 된다.
기존의 기초연금, 장애인수당, 기초생활수급 등 각기 제도별로 받던 상담을 '복지상담 전문관'이 원스톱 해결해준다. 의료기관, 학교, 지역단체, 마을변호사‧세무사 등 지역사회 모든 자원과 협력해 민원인에게 최적의 혜택으로 돌려준다.
앞으로는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주민들의 활동을 마을자원 연계부터 시‧구‧주민 사이 메신저까지 동주민센터가 근거지로 기능한다. 주민 주도의 마을생태계를 만든다는 취지다.
이 같은 혁신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서울시는 총 606명(사회복지담당 공무원 500명, 방문간호사 106명)을 충원했다. 이 가운데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73명은 향후 확대를 고려, 현재 사업을 시행하지 않는 구에 배치했다. 따라서 13개 자치구 80개 센터별로 평균 6.7명(일부 방문간호사는 보건소에 배치)이 보강됐다.
서울시는 향후 3년 동안 현재의 2배 수준인 2450명을 추가로 증원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전체 자치구 423개 동으로 넓힐 계획이다. 단계별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자치구와 지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주민의 최접점 기관인 동주민센터 변화는 선별적이 아닌 천만시민 누구나 일상 속 복지서비스를 누리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복지와 보건, 주민참여 융합을 통해 주민중심의 밀착형 복지기능이 더욱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