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최초 좌파 집권부터 총리 사퇴까지...'격변의 9개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1 16: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내달 20일께 조기총선...치프라스 총리 재집권 가능성도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왼쪽)가 20일(현지시간) 사직서를 제출하기 위해 아테네에서 카롤로스 파포울리아스 그리스 대통령과 만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사퇴 쪽으로 결단을 내렸다. 긴축 정책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리라는 국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집권한 지 7개월여 만이다. 대신 다음달 20일께 조기총선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로서는 2015년 들어 격변의 9개월을 보내고 있는 셈이다.

◆ 끝내 오지 않은 그리스의 봄, 총리 당선에서 사퇴까지

지난 1월 25일(현지시간) 급진좌파연합(시리자)이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그리스에는 최초로 급진 좌파 정부가 들어섰고 최연소 총리가 살림을 맡았다. 다만, 시리자는 단독 정부를 구성할 수 있는 조건인 과반의석(151석)을 확보하지 못해 3위 이하 정당들과 연립정부를 구성해야 했다. 

시리자의 승리는 기존 긴축 정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그리스 국민들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였다. 집권 초기만 해도 치프라스 총리는 지난 1·2차 구제금융 협상 당시 채권단 트로이카(유럽연합집행위원회, 유럽중앙은행, 국제통화기금)와 합의한 이행조건을 파기하고 재협상하겠다고 말했다. 

그리스와 채권단 사이의 갈등은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그리스의 채무반환 만기일이었던 6월 30일을 기점으로 최고조에 이르렀다. 당시 치프라스 총리는 가장 민주적인 방식으로 개혁을 추진하겠다며 국민투표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제2차 구제금융에 따라 5년 동안 허리띠를 졸라 매야 했던 그리스 국민들은 열광했다. 채권단의 개혁안에 반대해야 재협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정부의 설득에 따라 60%가 넘는 국민이 ‘반대표’로 단결력을 보여줬다. 하지만 투표결과가 독일 등 유로그룹 내 강경파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결국 그리스 정부는 개혁안 제출 마감 시한이었던 7월 9일께 방향을 바꿔 역대 최대 강도의 긴축안을 포함한 협상안을 채권단에 제출했다. 민영화와 세금제도 개편 등 지난 1·2차 구제금융보다 긴축 정도는 더 심해졌다. 

◆국민투표부터 협상 타결까지, 롤러코스터 같던 여름

하반기가 시작되면서부터는 롤러코스터 같은 형국이 펼쳐졌다. 3차 구제금융 협상안이 최종 타결되면서 일단 돈 문제에 대해서는 걱정을 덜었다. 3년간 860억 유로(약 115조원) 규모의 3차 구제금융을 받기로 하면서 협상 대장정을 마무리한 것이다. 유럽안정화기구(ESM)로부터 첫 분할금 130억유로를 받아 20일로 예정돼 있던 유럽중앙은행(ECB)에 대한 채무액 34억유로도 갚았다.

돈 문제가 해결되자 이번에는 정치 문제가 남았다. 3차 구제금융 협상을 거치며 시리자가 분열되자 결국 시리자 연립정부가 일괄 사퇴하기로 한 것이다. 시리자 정부가 물러나며서 오는 24일께 선거를 위한 과도정부가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치프라스 총리는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내달 20일 조기총선을 제안했다. 그리스 헌법에 따르면 총리가 사임하면 30일 이내 선거를 치러야 한다. 이와 관련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그리스 조기총선이 ESM 프로그램의 지지를 넓히는 방안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치프라스 총리의 사퇴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 3차 구제금융 협약을 마무리하고 ECB와 IMF의 부채를 차례로 상환하면 총리 신임투표나 조기총선이 제안될 것이라는 전망이 돌았다.

다만 시리자가 총선에서 승리하면 치프라스 총리가 재집권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지난달 여론조사에서 시리자의 지지율이 40%대로, 2위에 오른 신민주당보다 20%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