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단기 반등…중장기 베어마켓 진입 예상" [NH투자증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4 08: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NH투자증권은 코스피가 단기에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24일 전망했다.

이날 오태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비중 축소보다는 오히려 단기 반등을 염두에 두는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미국 주식시장 폭락 영향으로 코스피가 1800선까지 하락한다면, 이후 반등은 V자형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오 연구원은 3가지 근거를 제시했는데, 우선 첫째 이유로 '공포심리'가 고점에 와있음을 꼬집었다.

VIX(공포지수)는 28을 넘어서며, 지난 2000년 이후 변동성 상단까지 상승했다. 오 연구원은 "주가에 반영된 공포심리(VIX)와 금융시장에 반영된 공포심리(Citi Macro risk index)가 이미 급등한 상황이고 초 대형기업 부도, 국가부도 등의 상황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단기적으로 공포심리는 고점에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그는 "VIX 급등 등으로 리스크 프리미엄이 상승하더라도, 채권금리 하락으로 무위험 이자율이 이를 상쇄하고 있다"면서 "미국 주식시장의 적정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봤다.

여기에 코스피의 12개월 확정 주가순자산비율(Trailing PBR)은 0.96배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1월 PBR은 0.91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코스피는 V자형 반등을 했고 4주 후에는 18% 상승한 전례가 있다.

그는 "달러 약세로 정유, 화학, 철강 등 원자재 관련주의 기술적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시점"이라며 "화장품 주식 등 기존 중국 소비의 핵심 테마도 9월말 중추절과 10월초 국경절 연휴 기대로 반등을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다만 중장기 투자환경에 대해선 "금융위기 이후 유동성으로 끌어올린 자산가격이 결국은 상당한 후유증을 겪고, 신흥국이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베어마켓 진입 가능성을 높게 봤다.

오 연구원은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수요 부진과 공급 과잉 문제에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면서 "미국 경제 조차도 디플레이션을 극복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양적완화 정책이 종료되면 디플레 심리가 강해지면서 미국 증시도 하락 압력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현재 미국 회사채 BB 등급 채권금리는 6.39%"라며 "2008년 금융위기 직전 상황을 고려할 때, 7%를 넘어가면 곰이 본격적으로 사냥을 시작하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