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고려 시대 먹, 보물로 지정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6 08: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문화재청,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 명 고려 먹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

[사진=고려 먹 '단산오옥']


아주경제 정등용 기자 =현존 최고(最古) 고려시대 먹인 '단산오옥'이 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조선시대까지 먹 생산지로 유명했던 충북 단양에서 만들어진 먹이다.

문화재청은 26일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丹山烏玉)명 고려 먹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1998년 청주시 동부우회도로 건설공사 구간 내 명암동 1지구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목관표에서 출토된 ‘단산오옥’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이다.

‘단산오옥’의 ‘단산’은 단양의 옛 이름이며, ‘오옥’은 먹의 별칭인 ‘오옥결’의 약칭이다. ‘단산오옥’은 ‘단양 먹’이라는 뜻이다.

특히 ‘단산오옥’은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 “먹 중에서 가장 좋은 먹을 단산오옥이라고 한다”라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우수한 먹으로 알려져 있다.

‘단산오옥’은 출토 당시 무덤 주인의 머리맡 부근 철제가위 위에 반으로 조각난 채 발견됐다.

‘단산오’라는 글자가 세로로 쓰인 면이 위쪽으로 놓여 있었는데, ‘오(烏)’자 밑에는 ‘옥(玉)’의 첫 획으로 추정되는 ‘일(一)’자 획이 남아있다.

문화재청 측은 먹을 갈아 사용하면서 닳아 ‘일(一)’자 획이 남은 것으로 추정했다.

‘단산오옥’의 길이는 11.2cm, 너비 4cm, 두께 0.9cm이며 먹의 머리를 둥글린 비석 형태로 이뤄져 있다.

앞면에는 먹의 이름을 써넣은 규각형(圭角形, 윗부분이 뾰족한 직사각형)의 공간이 있고 그 가장자리에는 파상문(波狀文, 물결무늬)이 중첩돼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용이 날아오르는 모습을 우아한 곡선으로 표현한 비룡문(飛龍文)이 그려져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되는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은 고려 먹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 먹의 연구에 있어 귀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재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전했다.

문화재청은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에 대해 30일간 지정 예고 기간을 갖고 이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