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1일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위원회 제4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김 제1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계획은 지역 출신자들을 별도 선발하는 특별전형인 지역인재전형을 지역 전문대학까지 확대 실시하고 지역인재전형 실시 규모도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의학․치의학․한의학․약학 등 의학계열 학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지역인재전형은 타 학과로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4년제 대학의 지역인재전형 선발 인원은 올해 68개 학교 5633명에서 2017년 81개 학교, 1만120명, 2020년 85개 학교 1만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역 전문대학 지역인재전형 선발 가능 인원은 2017년 17개 학교 1334명, 2020년 20개 학교 1700명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입학 후 1년간 지원하던 ‘지방인재 장학금’의 지원 기간은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희망사다리 장학금’ 규모도 올해 200억원에서 내년 213억원으로 확대한다.
지방대학의 사회맞춤형 학과 운영도 확대하고 지역 산업 맞춤형 대학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 수요 맞춤형 교육도 실시하도록 할 예정이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취업약정형 주문식 교육과정 등 기업 취업이 약정․연계되는 학과․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하고 현장실습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학사구조 개편, 정원조정 유도를 지원하는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을 신규 실시하는 등 지역 산업에 맞는 대학 교육과정 운영도 확대하기로 했다.
공무원 및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임용․채용은 강화하고, 기업의 지역인재 채용 기회도 늘릴 예정이다.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은 확산하고 교육․경제계 협의체 구축 및 지역 거버넌스를 활용한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채용을 위해 민․관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지역 대학 연계를 추진하고, 이전 공공기관 및 기업․대학․연구소가 밀집된 지역 혁신도시가 지역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지역대학 간 연계 방안’은 별도 안건을 통해 정책 추진 방향을 구체화했다.
대학의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대학이 보유한 창의적 자산 중 우수기술을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연계하고, 우수인력 및 기자재․시설 등 인프라를 제공해 지역 내 창업 또는 사업화 전 과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지역별 ‘지방대학 육성협의회’ 위원을 위촉해 연계 플랫폼을 통해 대학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학 및 시․도교육청이 함께 협력하는 모델도 개발하기로 했다.
황우여 부총리는 회의에서 “심각한 청년 실업,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 현상 등 지방대학을 둘러싼 사회적 여건은 여전히 좋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지역인재가 지방대학에 입학해 돈 걱정 없이 학업에 매진하고,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