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인 선배들이 전국 캠퍼스를 찾아 지역 대학생들의 진로 고민 해결을 돕는 ‘삼성캠퍼스톡’이 21일 대전·충남편으로 하반기 일정을 시작했다. [사진=삼성 제공]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자기소개서(자소서)는 대학 4학년 때 쓰는 것이 아니라 대학 1학년, 빠르게는 초∙중∙고등학생 때부터 작성하고 점진적으로 보완해나가는 기록물이다.”
박노천 에스원 인재개발원 상무가 21일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삼성캠퍼스 톡 美&UP’에서 대전·충남 지역 대학생 1000여명에게 자기소개서 작성법과 면접 태도 등 구체적인 취업 준비 방안을 제시하며 이같이 말했다.
박 상무는 이어 자소서를 거짓으로 꾸며낸다는 뜻에서 나온 ‘자소설’이라는 말을 꼬집으며 “자소서는 각색하고 포장하는 기록물이 아니라 자신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고뇌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 상무는 또 “기업에서 인재를 뽑을 때 지원자의 학점과 자격증 등은 곧 성실함을 판단할 수 있는 1차 지표가 되기 때문에 대학 시절 학점을 관리하고 스펙을 쌓는 등 기본기를 갖추는 것에도 소홀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박 상무는 △ 긍정적이고 자기 생각이 잘 정돈된 인재 △ 배려심과 사려 깊은 마음을 가진 인재 △ 질문의 핵심을 정확히 간파하는 인재 등이 우수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충남대 물리학과 출신인 박노천 상무는 삼성전자 리더십개발센터장과 글로벌양성그룹장을 역임한 후 현재 에스원에서 인재개발업무를 총괄하는 인사전문가다.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김형돈 삼성디스플레이 과장은 입사 후 LCD 엔지니어링 업무에서 IT영업그룹 소속 마케터로 전향한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며 “스스로 한계를 정하지 말고 여러 가지 업무를 시도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주자로 나선 강연자는 ‘로봇 덕후’라는 별칭을 가진 박경재 삼성전자 선임이었다.
박 선임은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업무 역량으로 “전문 지식 못지 않게 창의적, 혁신적 아이디어가 중요하다”며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책상에 앉아 고민하지 말고 여러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분석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선임은 충남대학교에서 메카트로닉스공학을 전공했으며, VD사업부 선행개발그룹에서 스마트TV 조작을 돕는 모션 컨트롤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삼성캠퍼스톡은 다양한 분야와 직급의 삼성인 선배들이 전국 캠퍼스를 찾아 지역 대학생들의 진로 고민 해결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대전·충남 편으로 하반기 일정을 시작한 삼성캠퍼스톡은 오는 23일 부산대 경암체육관에서 해당 지역 대학생을 만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