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산성터널 금정 측 입구 공사현장. [이채열 기자]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 산성터널 공사현장 금정구 방면 입구 주민들이 터널 발파로 인한 소음과 건물 벽면 균열에 격렬히 항의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인근지역 주민 대다수 아파트 거주자들이 그동안 재산권 침해 등을 우려해 강력한 대응에 나서지 못하는 사이, 시공사와 주민들 간 갈등의 골은 메울 수 없을 만큼 깊어졌다. 또 부산시가 숙원사업이라는 이유로 시공사를 짐짓 봐주고 있는 모양새를 띠면서 또 다른 논란도 예고되고 있다.
부산 산성터널은 민간투자사업으로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총 사업비는 3004억원이며, 포스코건설이 주관사로 시공을 맡고 있다. 터널 굴착 부분은 ㈜우원개발이 도급을 맡았다. 2013년 8월 착공했고, 지난해 4월 10일 기공식을 가졌다.
이러한 부산 산성터널 공사현장의 금정구 측 입구에는 중형급 아파트 두 단지가 자리하고 있다. 이 중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A아파트가 300여 가구, 상대적으로 오래된 B아파트가 190가구에 이른다. 기타 다세대주택이 몇 가구 분포해 있다.
해당 주민들이 불편을 느끼기 시작한 건 지난 4월부터이다. 터널 굴착을 위한 발파가 본격화되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이 포스코건설을 찾아가 하소연도 해보았지만 조용해진 것은 그때 잠시뿐이었다.

부산 산성터널 공사로 인해 인근 주택의 벽이 균열되어 있는 모습. [이채열 기자]
참다 못한 주민들이 비대위를 구성해 대응했지만 그 역시 역부족이었다. 아파트 값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주민들이 강력하게 나서지 못했다. 시공사와 부산시를 상대로 민원만 제기했을 뿐이다. 창문이 부서지고 벽에 금이 가는 피해를 당하고도 전전긍긍할 뿐이었다.
특히 주민들을 분노케 한 것은 포스코건설을 비롯한 시공사들의 이중적인 태도였다. B아파트 주민 C씨는 “비대위 구성 후 협의과정에서 포스코건설 측이 하루 폭약사용량을 80㎏ 이하로 줄이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이러한 약속을 팽개치고 최근 들어 현재까지 폭약사용량을 두 배 이상 늘어난 160㎏가량 사용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시공사가 이렇게 주민들과의 약속을 저버리자 일부 주민들이 강력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B아파트 주민 D씨는 “이젠 재산권 침해도 감수해야 할 만큼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부산시의 미온적인 관리감독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는 해당 현장 주민들의 민원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건설본부 관계자는 “두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각 2회씩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비대위 간담회를 수차례 가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이 느끼는 체감온도는 이와는 전혀 달랐다. A아파트 주민 E씨는 “시가 그동안 주민설명회를 가졌다고는 하지만 주민들 대다수는 설명회가 열리는 줄도 몰랐다.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면 마지못해 아파트단지를 찾아 형식적인 모임을 갖는 게 전부였다”고 말했다.
B아파트 주민 C씨는 “부산시가 주민들의 민원을 위해 펼친 행정이 허구였다는 것은 현재의 폭약사용량만 봐도 알 수 있다”며 “주민들 입장에선 시공사나 부산시나 결국 ‘한통속’인 셈”이라고 말했다.
이 문제와 관련, 관리 감독 책임이 있는 부산시와 시공 건설업체들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