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자료사진]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심뇌혈관 질환은 국내 사망 원인의 20%를 차지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암 같은 다른 질병에 비해 심각성이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질병관리본부는 '세계 심장의 날'(9월 29일)을 맞아 30일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을 발표하고 예방을 위해 이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생활수칙은 △담배는 반드시 끊는다 △술은 하루에 한두잔 이하로 줄인다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한다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한다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한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한다 △정기적으로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을 측정한다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을 꾸준히 치료한다 △뇌졸중·심근경색증의 응급증상을 숙지하고 발생즉시 병원에 간다 등도 예방과 관리 대책으로 제시했다.
심뇌혈관 질환은 심장과 뇌혈관 이상에서 비롯된 질환으로,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의 심근경색 같은 심장 질환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지만 계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반면 뇌졸중 같은 뇌혈관 질환은 사망률이 감소세에 있지만 OECD 평균을 웃돌고 있다.
문제는 심근경색증과 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등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지표가 좋지 않다는 데 있다.
현재 흡연율은 20% 중반대에서 정체돼 있으며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랑 남성 7잔·여성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음주하는 분율) 역시 10% 초반에서 한자릿수로 내려오지 않고 있다.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07년 54.7%에서 2013년 47.2%로 오히려 7.5%포인트나 떨어졌다.
또 다른 문제는 재관류 요법(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것) 치료가 가능하도록 심근경색은 증상 발현 후 2시간이, 뇌졸중은 3시간이 환자를 살리는 데 중요한 '골든타임'이지만 골든타임이 지나서 병원에 도착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2012년 기준 증상 발현 후 평균 병원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심근경색은 2시간20분, 뇌졸중은 3시간 24분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심뇌혈관 질환의 의심 증상이 나타날 때는 시간이 생명이므로 지체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까운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