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를 위한 '스마트팜 확산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남태헌 농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은 "스마트팜은 ICT를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농장"이라며 "스마트팜을 이용하면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기존 관리방식보다 덜 투입하고도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외·수박·파프리카·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시설원예분야는 2017년까지 현대화한 온실면적(1만500㏊)의 40% 수준인 4000㏊를 스마트 온실로 바꾸기로 했다. 축산분야는 지난해 양돈을 시작으로 올해 양계 등 단계적으로 스마트팜 적용 대상 축종을 확대하고 있다.
내년부터 젖소·한우 등의 생산성 향상에 로봇착유기와 자동포유기 등을 일괄 지원하는 스마트축사를 도입한다. 2017년까지 축산농가 전업농의 10% 수준인 700호까지 스마트 축사를 늘릴 계획이다.
아직 보급 초기단계인 노지 스마트팜 사업화는 대규모 과수원을 중심으로 추진해 2017년까지 600여개 농가로 확산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수출재배단지 ICT 융복합 첨단온실 지원 예산을 올해 246억원에서 내년 454억원으로 늘리는 등 예산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또 국내 제품의 상용화 수준이 낮아 비싼 외국산 제품 점유율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저비용·고효율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과 보급에 나선다.
참외·수박 재배용 단동간편형 모델은 올해 6월 개발이 완료돼 재배농가에서 실증 실험 중이다. 딸기·오이에 적합한 연동복합형 모델은 올 하반기까지, 토마토 등에 알맞은 수출첨단형 모델은 내년까지 개발을 마칠 예정이다.
스마트팜 전문인력 육성, 농가 실습교육, 사후관리 등을 통해 스마트팜 운영 농가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현장 지원도 강화한다.
2017년까지 ICT 전문 농업인 8000명, 현장 스마트팜 지도인력 200명, 전문 컨설턴트 12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남 정책관은 "ICT 기술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팜을 확산하면 우리 농업의 약점인 고령화, 일손 부족 등을 극복하고 극복하고 자본·기술 집약적인 미래농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