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KT는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재난 상황에 대비한 ‘백팩 롱텀에볼루션(LTE)’, ‘드론 LTE’ 등과 같은 특화된 통신서비스를 선보였다.
앞서 지난 20일 KT는 조달청과 ‘2015년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평창지역을 중심으로 PS-LTE(공공안전 LTE)를 기반한 재난 관련 기관의 단일 통신망 구축과 운용 등을 포함한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KT는 재난 상황을 담은 20개 시나리오에 기반한 종합테스트로 시범사업을 이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광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이른바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로 네트워크의 생존 가능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KT는 재난망의 추진과는 별개로 재난재해 발생이 발생한 경우, 신속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드론 LTE’, ‘백팩 LTE’, ‘위성 LTE’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드론 LTE’는 드론에 기지국 핵심장비를 부착한 형태의 이동기지국 솔루션으로 세계 최초의 초경량∙초소형 비행기지국이다.
KT가 개발한 ‘드론 LTE’는 재난재해 상황에서 사람과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 지역이나 고립된 지역의 신속한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다수의 드론을 띄우는 편대 비행방식을 적용해 넓은 지역의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드론 기지국과 더불어 드론 스테이션이라는 기술을 적용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드론의 단점을 보완해 장시간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드론 스테이션은 배터리가 방전된 드론을 차례로 착륙시켜 급속 충전을 한 후 다시 이륙시키는 일종의 드론 정거장이다
이미 KT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드론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드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8년 최대 비행시간 40분, 운영반경 20Km, 탑재 중량 5kg의 고성능 드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드론 LTE’ 외에도 산악과 해상지역에서 재난재해 발생에 대비한 ‘백팩 LTE’와 ‘위성 LTE’ 솔루션도 선보였다.
‘백팩 LTE’는 기존 LTE 기지국을 배낭 형태로 축소해 무게가 총 9kg에 불과한 이동형 기지국으로서 KT가 지난 7월 개발 착수 발표를 한 이후 나온 첫 번째 상용 모델이다.
‘백팩 LTE’는 기지국 신호가 약한 산악 지역이나 이동기지국 차량이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인력이 장비를 메고 출동해 신속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 LTE’는 위성 전송망으로 도서 지역의 긴급통신, 광케이블과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망 구축이 어려운 원해 상 등에서 이용이 가능한 통신 솔루션이다. KT는 이미 비상상황을 대비해 독도와 백령도,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와 세종 과학기지에 위성 LTE를 구축했다.
KT 네트워크부문 오성목 부사장은 “KT는 재난재해로 인해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다양한 대응 솔루션들을 개발해왔다”며 “국가적 비상사태에 대응할 시범사업을 완벽히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