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교의 세상보기] 후야오방은 되고 자오쯔양은 안되는 이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26 1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정원교 글로벌뉴스본부장

후야오방(胡耀邦)이 지난 20일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마침내 복권됐다. ‘중국 개혁파의 원조’로 ‘비운의 총서기’라는 꼬리표가 붙어다녔던 그다. 

후야오방은 문화대혁명 당시 마오쩌둥(毛澤東)의 극좌노선에 따르지 않아 박해를 받았다. 그가 정치 일선에 복귀한 건 1976년 마오 사망 뒤였다. 1982년 중국공산당 중앙 총서기에 오른 뒤에는 개혁개방 작업을 주도했다. 이 과정에서 1986년 12월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 학생 시위가 벌어졌으나 이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이유로 낙마하게 된다.

후에 대한 복권이 이뤄진 배경은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덩샤오핑(鄧小平)은 1987년 1월 정치국확대회의를 통해 후를 총서기직에서 쫓아내면서도 그에게 가혹하게 대하지 않았다. 후의 정치국 상무위원 자리를 그대로 둔 건 이를 잘 말해준다. 더욱이 그해 11월 열린 당 13기1중전회(제13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후는 정치국위원에 선출됐다. 1989년 4월 15일 그가 사망하자 국장을 치르도록 허용했다. 총서기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상당한 당내 위상이 유지된 것이다.

후와 시진핑(習近平) 주석 아버지 시중쉰(習仲勳) 간 인연도 거론된다. 문혁이 종말을 고하면서 재기한 후가 1977년 당 조직부장을 맡은 뒤 개혁 성향의 시중쉰을 복권시킨 것이나, 시중쉰이 후의 실각에 유일하게 반대했다는 게 그것이다. 시 주석도 후의 장남 후더핑과 끈끈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이 두 가지에 더해 근본적으로는 중국이 지금 내세우고 있는 시대 정신이 후를 복권에 이르게 했다고 봐야 한다. 시 주석은 후야오방 탄생 100주년 기념 좌담회에서 “후야오방 동지는 중국 개혁 개방에 위대한 공헌을 했다”고 밝혔다. 시진핑 지도부가 이미 추진하고 있는 각종 개혁 정책을 흔들림 없이 밀고 갈 것이란 확실한 선언인 셈이다.

그렇다면 여전히 ‘국가의 죄수’(자오쯔양의 비밀회고록 제목)로 남아있는 자오쯔양(趙紫陽)은? 그는 후야오방에 이어 1987년 중공 총서기에 올라 개혁과 민주화를 추구했다. 1989년 후가 사망하자 학생들의 톈안먼 시위로 번졌으나 그는 당 원로들의 조기 진압 주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실각된 뒤 16년 동안 가택연금 상태로 지내야 했다. 2005년 1월 17일 사망했으나 10년이 지나도록 유골조차 안장되지 못하고 있다. 후야오방의 실각 뒤 모습과는 엄청난 차이다.
 

[그래픽=아주경제 김효곤 기자]

왜 후야오방은 복권되고 자오쯔양은 안되는 걸까. 크게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자오는 톈안먼 사태의 직접 당사자이지만 후는 이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자오 복권 여부는 ‘핑판류쓰(平反 6·4)’라고 부르는 톈안먼 사태 재평가와도 연결돼 있다. 당은 톈안먼 사태에 대해 1980년대 말 중국에서 발생한 정치적 풍파라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다. 

두 번째이자 훨씬 중요한 것은 지금은 중국 사회가 개혁 개방과 동시에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다잡아야 할 때라는 중국공산당의 노선이다. 이는 시 주석으로서도 절대 양보할 수 없는 최저선이다. 지난 18기 5중전회에서는 이에 따라 물질 문명과 정신 문명의 협조 발전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는 당이 현재 통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인식을 그대로 보여준다. 즉 당이 관료화로 인해 ‘대표성의 위기’를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약화로 주체성을 상실하면서 ‘정당성의 위기’에도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소장학자들이 중국사회주의의 앞날을 토론한 ‘대도지행(大道之行): 중국공산당과 중국사회주의’(중국인민대 출판사, 2015)라는 단행본에 잘 기술돼 있다. 옌이룽 칭화대 공공관리학원 조교수 등 70~80년대 출생 학자 5명이 쓴 이 책은 중국이 당면한 문제와 나아갈 길을 제시해 주목을 끌었다.

안이불망위 존이불망망(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중국공산당이 통치 위기 앞에서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말이다. ‘평안할 때 위기를 잊어서는 안되고 존속할 수 있을 때 망할 수도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주역에 나온다.  

신중국은 1949년 출범 뒤 지금까지 30년 주기로 큰 고비를 경험했다. 첫 30년이 '혁명의 시대'였다면  그 뒤 30여년은 '개혁의 시대'였다. 앞으로 30년은 중국사회주의의 제도화가 정착되는 시기가 돼야 한다는 게 대도지행 저자들의 생각이자 당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개혁 개방 30년이 지나면서 시장경제가 당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은 현재 '비공유제'가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미 70%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공동부유' 추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지상과제가 됐다는 것이다.  소장학자들은 이를 ‘자본 머리 위에 올라탄 사회주의’라고 부르고 있다.  

개혁 개방을 계속해야 하지만 당의 정체성은 지켜나가야 한다는 고민, 이게 자오쯔양을 복권시키지 못하는 중국공산당의 현주소다. 

(아주경제 글로벌뉴스본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