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11/20151211112112401213.jpg)
19대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37회 국회(정기회) 15차 본회의에서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가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 원내지도부가 11일 한목소리로 내년 20대 총선의 선거구 획정을 두고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국회의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는 12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회동을 가질 예정이나, 현재로선 양측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결렬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날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선거구가 금년 말이면 다 없어지는 그야말로 비상 상황이 생기는 것 아닌가"라며 "그 땐 (국회의장이) 국회의 수장으로서 비상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저희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지만, 한계상황에 있다"고 덧붙였다.
의장의 직권상정은 현행 국회법상 천재지변이나 국가적 비상사태, 여야 간 합의를 전제 조건으로 걸고 있다. 직권상정의 근거로 현 상황이 국가적 비상사태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심각한 비상사태"라고 답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내일 회동이 결렬되면 모든 협상을 중단해야 한다"면서 "회동이 결렬되면 국회의장이 말씀하신 극단의 결정을 할 수밖에 없다는 뜻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조 원내수석은 "선거구 획정을 하지 못하면 그 책임은 정부와 여당이 져야 한다"면서 "더 이상 대안없는 야당에 끌려다닐 필요가 없다"고 지적했다.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그는 "사실 양당의 대권후보로 오르내리는 분들이 벌써 몇 번이나 만났나"라며 "안 될 때는 국회의장이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학재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여당 간사는 야당이 주장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설명했다.
그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실시할 경우, 현행과 비교해 군소정당이 의석 수를 더 많이 확보할 가능성이 매우 큰 제도"라며 "향후 야권이 더 분화하면 이 제도에 따른 혜택은 고스란히 야권이 가져간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구는 후보단일화로 우위를 점하고, 비례대표는 연동형으로 실속을 챙겨 과반의석을 무너뜨리고자 하는 안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라며 "이것이 새누리당에서 이 안을 받을 수 없는 이유"라고 꼬집었다.
이 간사는 "내일 회동이 불발로 끝나면 비상수단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면서 "야당은 선거구 획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원플러스원(1+1)으로 끼워 팔겠다는 생각을 접고,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그는 15일로 활동이 마무리되는 정개특위와 관련해 "연장은 절대 불가하고 반대한다"면서, 내년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인 15일까지 모든 일정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