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위원회]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는 방송매체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이용행태 변화 등을 담은 ‘2015년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4년보다 표본규모를 800여가구 확대했다. 전국 4266가구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남녀 7553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면접조사 방식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진행했다.
조사항목은 △매체보유 및 필수매체 △매체별 이용량 △매체별 이용행태 △온라인 동영상 제공(이하, OTT)서비스 이용 △TV 시청 중 타 매체 이용 현황 등으로 구성됐다.
우선 TV(94.8%)가 가정 내에서 여전히 보편적인 매체로 조사됐다. 다기능 미디어인 스마트폰(76.9%→78.8%)의 보급 증가로 미디어 이용의 ‘이동화’, ‘개인화’가 전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40대의 스마트폰 보유비율은 90% 이상이다.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의 중요도(46.4%)는 전년(43.9%)보다 높아져 TV(44.1%)보다 더 필요한 매체로 부상했다. 세부적으로 10대(67.9%)와 20대(69.5%)는 스마트폰을, 50대(57%)와 60대 이상(86.6%)은 TV를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TV시청(전체응답자 기준)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46분으로 타 매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스마트폰은 1시간19분, 라디오는 17분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 빈도는 TV(784→76.2%), PC‧노트북(30.6→29.5%), 라디오(9.5→8.9%), 신문(8.2→7.1%)의 주 5일 이상 이용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스마트폰(70.8%→73.7%)의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서비스 이용률 관련, 최근 1주일내 한 번 이용률은 14%였다. 서비스 이용 기기는 스마트폰‧태블릿(90.8%), PC(22.2%), 노트북(14.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액제 혹은 추가요금을 지불하고 이용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 기준 2.9%, 이용자 기준 20.8%였다.
OTT서비스를 통해 주로 시청하는 프로그램 유형은 오락‧연예(68.7%)가 가장 높았고, 드라마(32.9%), 뉴스(16.7%), 스포츠(15.7%), 영화(13.2%), 시사‧교양(8.3%)의 순으로 나타났다.
TV 시청중 타 매체를 함께 이용하는 비율은 스마트폰(43.2%)이 가장 높고, PC‧노트북 (7.3%), 신문(2.3%) 순서였다.
TV 시청 중 다른 매체를 동시에 이용하는 이유는 채팅‧메신저(52.9%)로 전년(45.9%)대비 대폭 증가했고, 습관적으로(45.1%), 다양한 정보검색(26.3%)가 뒤를 이었다.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전원 조사로 가구 설문과 개인 설문을 별도로 구성해 진행됐으며 2010년 통계청 인구센서스 결과에 기초한 조사구 선정 방식을 적용해 표본의 대표성과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했다.
한편,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는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다.
국민과 정부 간의 소통과 협력을 확대하는 ‘정부3.0’의 가치에 따라 보고서 발간시 주요 데이터와 그래픽 파일을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 에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2014년보다 표본규모를 800여가구 확대했다. 전국 4266가구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남녀 7553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면접조사 방식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진행했다.
조사항목은 △매체보유 및 필수매체 △매체별 이용량 △매체별 이용행태 △온라인 동영상 제공(이하, OTT)서비스 이용 △TV 시청 중 타 매체 이용 현황 등으로 구성됐다.
우선 TV(94.8%)가 가정 내에서 여전히 보편적인 매체로 조사됐다. 다기능 미디어인 스마트폰(76.9%→78.8%)의 보급 증가로 미디어 이용의 ‘이동화’, ‘개인화’가 전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40대의 스마트폰 보유비율은 90% 이상이다.
TV시청(전체응답자 기준)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46분으로 타 매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스마트폰은 1시간19분, 라디오는 17분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 빈도는 TV(784→76.2%), PC‧노트북(30.6→29.5%), 라디오(9.5→8.9%), 신문(8.2→7.1%)의 주 5일 이상 이용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스마트폰(70.8%→73.7%)의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서비스 이용률 관련, 최근 1주일내 한 번 이용률은 14%였다. 서비스 이용 기기는 스마트폰‧태블릿(90.8%), PC(22.2%), 노트북(14.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액제 혹은 추가요금을 지불하고 이용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 기준 2.9%, 이용자 기준 20.8%였다.
OTT서비스를 통해 주로 시청하는 프로그램 유형은 오락‧연예(68.7%)가 가장 높았고, 드라마(32.9%), 뉴스(16.7%), 스포츠(15.7%), 영화(13.2%), 시사‧교양(8.3%)의 순으로 나타났다.
TV 시청중 타 매체를 함께 이용하는 비율은 스마트폰(43.2%)이 가장 높고, PC‧노트북 (7.3%), 신문(2.3%) 순서였다.
TV 시청 중 다른 매체를 동시에 이용하는 이유는 채팅‧메신저(52.9%)로 전년(45.9%)대비 대폭 증가했고, 습관적으로(45.1%), 다양한 정보검색(26.3%)가 뒤를 이었다.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전원 조사로 가구 설문과 개인 설문을 별도로 구성해 진행됐으며 2010년 통계청 인구센서스 결과에 기초한 조사구 선정 방식을 적용해 표본의 대표성과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했다.
한편,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는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다.
국민과 정부 간의 소통과 협력을 확대하는 ‘정부3.0’의 가치에 따라 보고서 발간시 주요 데이터와 그래픽 파일을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 에공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