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2/20160112162709416719.jpg)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들 외 생존학생 75명 등 86명의 졸업식이 열린 12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를 찾은 유가족들이 명예 3학년 교실을 찾아 둘러보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세월호 참사에서 생존한 단원고 학생 75명을 포함한 단원고 3학년 학생 86명이 12일 졸업식을 마쳤다.
유족들은 아직 돌아오지 않은 선생님과 아이들이 있다는 이유로 명예졸업식을 거부, 합동분향소에서 '다짐의 헌화식'으로 졸업식을 대신했다.
이날 오전 10시께 안산 단원고 주변에는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많이 아파한 만큼 더 예쁘게 성장해달라', '안산의 고3들에게…졸업을 축하합니다'라는 등의 현수막이 내걸리며 졸업식을 알렸다.
희생된 친구들을 기리는 마음에 한쪽 가슴이나 가방에 노란 리본 모양의 배지를 단 학생들도 눈에 띄었다.
외부인의 학교 출입은 불허됐다. 단원고는 '단원고등학교' 글자와 숫자가 적힌 비표를 소지한 졸업생과 학부모들에게만 입장을 허용했다.
졸업식은 학사보고, 꽃다발 증정식, 생존학생 75명을 포함한 86명의 졸업생에 대한 졸업장 수여식, 재학생 송사, 졸업생 답사, 내빈축사 등의 순서로 이어졌다.
2학년 재학생 대표는 "고교 3년의 시간이 더욱 긴 시간이었을 선배님들 마음고생 많으셨다"며 "어느 누가 뭐라해도 당당하게 살아가시길 바란다"며 송사를 낭독했다.
이어 3학년 졸업생 대표는 "세월호 사건이라는 겨울이 찾아와 혼란스런 병원생활, 새로운 환경의 연수원, 다시 돌아온 학교, 그리고 수많은 시선과 비난들은 모두에게 힘겨운 여정이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우리의 학창시절은 헛되지 않았다는 점을 잊지말자. 차마 표현할 수 없는 고난과 역경을 겪었고, 극복하는 법을 배웠다"고 답사를 읽어내려갔다.
생존학생 학부모들은 전날 4·16 가족협의회에서 전달한 '단원고 졸업생들에게 드리는 엄마아빠들의 축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부 유족 또한 학교를 찾았지만 졸업식장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생존학생 학부모 대표 오지연(46)씨는 "돌아오지 못한 250명의 친구들을 잊지 말자는 의미로 250송이의 장미를 준비, 아이들은 각각 3송이씩 나눠 갖고 졸업식에 참석했다"며 "간혹 눈물을 보이는 아이도 있었고, 졸업장을 받으며 고개를 떨구는 아이도 있었다"고 졸업식 분위기를 전했다.
졸업식이 끝난 낮 12시부터는 안산 화랑유원지 세월호 참사 합동분향소에서 희생자를 기리는 다짐의 헌화식이 열렸다.
유경근 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의 추모사 낭독 뒤 자유롭게 분향이 이어졌다. 추모식에서는 눈물을 흘리는 유족들이 눈에 띄었다. 일부는 오열하기도 했다.
졸업을 마친 생존학생과 학부모가 합동분향소를 찾아 단상에 졸업장을 올리고 묵념을 하는 모습도 보였다.
유 집행위원장은 "4·16 가족협의회는 아직 해결되지 못한 교실 존치 문제의 해결을 끝까지 요구할 계획"이라며 "단원고에서 새로운 교육이 시작되길 바라는 마음이지, 단순히 추모의 공간으로 남기자는 얘기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헌화식이 끝난 뒤 유족들은 '여전히, 가만히 있으라'라고 적힌 A4용지를 들고 단원고로 행진, 교실을 방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