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궁진웅 timeid@]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이날 정오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 소녀상 앞에서 1214차 수요집회를 열고 "이번 위안부 합의에는 피해자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대협은 위안부 타결 이틀 뒤인 지난달 30일 열린 1211차 수요집회부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측의 정당한 사과와 법정 배상 등이 결여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시민단체 회원과 정치인·학계·대학생 등 경찰 추산 500여명이 추운 날씨에도 자리를 지키며 뜻을 함께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정부가 먼저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일 정상회담에 임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면서 "지금은 마치 위안부 문제가 외교의 걸림돌처럼 치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의견서를 통해 '한일 외교장관 공동 기자 발표문'이 무효라고 말하면서 한국과 일본 정부에 유엔 인권규범과 한·일 국내법에 따른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 등을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