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생활안정지원금 등 연도별 지원내역. 표=여가부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10/20160310080055459998.jpg)
[생활안정지원금 등 연도별 지원내역. 표=여가부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해 주택보수부터 틀니, 휠체어 제공 등 맞춤형 지원이 한층 강화된다.
여성가족부는 최근 피해 할머니들의 생활상 애로사항을 새로 벌여 '1대 1 맞춤형 지원'을 이달 중 1차로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수요조사를 보면 주택보수(4명), 틀니(5명), 휠체어(1명), 온열치료기(1명), 의료비 및 의료용품(8명) 등의 도움을 요청하고, 주택개보수를 희망하시는 어르신도 일부 있었다.
여가부는 이달 중 관련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월 낙상으로 인해 중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했던 중국 거주 하모 할머니에 이미 치료비 1600여 만원을 보냈다.

여가부는 2014년부터 피해 할머니가 거주 중인 시·군·구의 사회복지담당이나 보건담당공무원 등을 전담자로 지정하는 '1대 1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피해자들이 평균 만 89.2세의 워낙 고령인데다 옛 상처로 몸과 마음이 많이 쇠약, 정부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분야의 지원도 펼치고 있다.
올해는 생활안정지원금과 간병비를 대폭 확대시켰다. 생활안정지원금과 간병비는 지난해 대비 각각 약 21%, 39.4% 늘어난 월 126만, 105만5000원을 제공 중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46명이다. 피해자 등록에서 현재까지 생활안정지원금과 간병비, 주거안정 일시금 등의 지원액은 지자체 예산을 포함해 1인당 평균 2억2000여 만원 정도다.
강은희 여가부장관은 "피해 할머니들이 요구하는 걸 최우선적으로 도와 여생을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더불어 유사한 비극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후세대의 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