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지난 27일부터 시작된 김해공항의 하계 운항스케줄이 주 2039편으로 지난해 하계보다 322편(18.7%), 동계보다 127편(7.2%) 늘어 국내선(4개 노선) 939편, 국제선(12개국 38개 노선) 1100편으로 개항 후 처음으로 주당 운항편이 2000편을 넘어서게 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김해공항은 지난해 처음으로 국제선 여객(631만명, 51%)이 국내선 여객(607만명, 49%)을 넘어서 인천공항을 제외한 국내 14개 공항 중 유일하게 국내선보다 국제선 운항편이 많은 국제관문공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김해공항은 하루 약 300편의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동남권 핵심 공항으로서의 위상이 한층 더 강화될 전망이다.
시에 따르면 김해공항의 운항편 증가는 국내·국제선을 가리지 않는 신규노선 개설과 함께 신규 항공사의 김해공항 진출에 따른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해공항은 지난해 2개의 새로운 항공사(이스타항공, V에어)가 진출해 국내외 27개 항공사가 취항 중이며, 올해도 대만 타이거항공 등이 신규 취항할 계획이다.
한편 이처럼 항공편이 크게 증가한 배경에는 부산시와 김해공항을 관제하는 제5공중기동비행단, 관리주체인 부산지방항공청 등 관계기관이 시간당 활주로 용량인 슬롯(SLOT)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공군 관계자는 “김해공항은 기본적으로 군사공항으로서 군용기의 운항이 우선시되어야 하지만 최근 늘어나는 여객 수요를 수용하고 지역민의 편의를 위해 슬롯 유지를 결정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항공전문가들은 김해공항의 이 같은 여객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공항인프라 확충이 우선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김해공항은 이번 하계 운항편 신청에 항공사들 간에 슬롯 확보 ‘전쟁’이 펼쳐져 일부 항공사는 원하는 슬롯을 받지 못해 향후 노선 운영과 유지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산시 김부재 신공항추진단장은 “금년 여객 목표치가 1400만명인 김해공항은 많은 항공사들이 신규취항을 희망하고 있지만 부족한 슬롯과 공항 시설 한계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시는 공항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커퓨시간 조정 등을 계획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김해공항의 넘치는 항공 수요를 처리할 가덕 신공항이 조속히 건설되어 항공사와 여객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