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에 韓 찾은 시스코 CEO, 재계 총수들과 연쇄 회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4-19 16: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19일 현대자동차그룹 양재사옥 회의실에서 현대차 정의선 부회장(왼쪽 셋째)과 시스코 척 로빈스 CEO(왼쪽 넷째)가 악수를 나누는 가운데 양사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12년 만에 한국을 찾은 시스코 최고경영자(CEO)가 19일 국내 굴지의 재계 총수들과 연쇄 회동에 나서면서 사업 협력에 나섰다.

척 로빈스 시스코 회장은 이날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과 회동을 시작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계 인사들과 면담을 가질 것으로 전해졌다.

시스코는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업체로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을 공급하는 정보통신 분야(ICT) 글로벌 리딩 기업이다. 시스코는 인터브랜드가 선정하는 브랜드 순위에서 지난해 15위(브랜드 가치 298억5400만 달러)에 오를 정도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며 전 세계 네트워크 장비 부문에서 점유율 1위 차지하고 있다.

시스코의 CEO가 한국을 찾은 것은 존 챔버스 전임 회장이 2009년 방한한 이래 7년 만이다. 특히 시스코의 척 로빈스 회장이 지난해 7월 부임한 이후 아시아 지역 첫 방문지로 중국이나 일본이 아닌 한국을 선택한 점이 눈길을 끈다.

한국에서 첫 회동은 현대차를 선택했다. 로빈스 회장은 이날 오전 현대차그룹 양재사옥을 방문해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과 ‘커넥티드 카’ 개발을 논의했다.

현대차와 시스코는 상호 협력을 통해 커넥티드 카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차량 내부에서 이뤄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기존 자동차는 제어해야 할 데이터 양이 많지 않아 소용량의 저속 네트워크가 기본적으로 적용됐다. 그러나 미래 커넥티드 카의 경우 제어해야 할 장치와 송수신 데이터 양이 급격히 증가한다. 각종 데이터의 실시간 전달도 필수적이며 차량 내 초고속 연결망 구축도 필요하다.

현대차가 개발하려는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차량 네트워크와 비교할 때 획기적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차량 내 여러 장치와 개별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현대차는 미래 커넥티드 카의 기초 인프라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의 확보와 함께 클라우드, 빅데이터, 커넥티드 카 보안 기술로 구성되는 커넥티드 카 통합 인프라 개발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정 부회장은 "시간과 공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확장하게 될 미래 커넥티드 카는 지금까지 전혀 경험하지 못한 놀랍고 새로운 생활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이번 협업은 현대차가 주도하는 미래 커넥티드 카 및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조기에 현실화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빈스 회장는 “이번 협업을 통한 기술적 혁신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파괴(digital disruption), 즉, 디지털화를 통한 파괴적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며 “커넥티드 카, 보안, 대용량 커뮤니케이션 전 부문에 걸친 기술에서 앞선 양사의 경쟁력이 업계 선두 플랫폼을 구축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 강조했다.

이외에 양사는 커넥티드 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해 커넥티드 카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커넥티드 카의 데이터 흐름을 면밀히 분석하고 신규 기술들을 검증하기 위한 차원이다. 특히 양사는 이 프로젝트에 국내 스타트업(벤처기업)을 참여시켜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또 로빈스 회장은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을 만나 양사간 서버 사업, 사물인터넷(IoT) 관련 비즈니스에 대해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스코는 서버 사업 중심으로 삼성전자와 사업 관계를 맺어왔다. 삼성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 고부가 메모리 제품 등을 시스코에 공급해왔다.

아울러 시스코는 보안상의 이유로 함구하고 있지만,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재계 인사들과 회동할 것으로 전해졌다. ICT 관련 정부 부처 고위관계자,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대표 등 통신사 대표와의 회동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