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우태희 2차관 주재로 원전수출 주요 사업(프로젝트)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세부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원전수출추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 더팔래스 호텔에서 개최된 이날 회의에는 한국전력의 해외부사장, 원전수출본부장, 해외원전개발처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글로벌전략실장, 기획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요 사업별 추진현황을 점검하면서 앞으로 국내 수출노형을 다양화하고,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등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에너지 공공기관 기능조정의 후속조치로 원전수출 공기업간 협업체계 및 조직강화 방안에 대해 토의가 이뤄졌다.
이번에 추진되는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에 따라 원전수출 추진체계가 대폭 보강된 만큼, 보다 역동적인 수주활동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 도출도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한국전력이 해외 원전수출 사업을 독점했으나 기능조정으로 한수원도 해외에서 원전 수주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한전과 한수원은 원전수출협의회를 신설해 원전 수주 사업을 조율하기로 했다.
협상이 진행 중인 수주 프로젝트는 한전이 수행하고 기술 요건이 중요한 프로젝트의 경우 한수원이 주관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또 수주 가능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발주국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원자로 모델을 다변화하고 원전기자재 수출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날 논의된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관련 고시를 8월 말까지 개정하기로 했다.
서울 더팔래스 호텔에서 개최된 이날 회의에는 한국전력의 해외부사장, 원전수출본부장, 해외원전개발처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글로벌전략실장, 기획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요 사업별 추진현황을 점검하면서 앞으로 국내 수출노형을 다양화하고,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등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에너지 공공기관 기능조정의 후속조치로 원전수출 공기업간 협업체계 및 조직강화 방안에 대해 토의가 이뤄졌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7/05/20160705080724267368.jpg)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더팔래스 호텔에서 우태희 산업부 2차관 주재로 원전수출추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산업부]
기존에는 한국전력이 해외 원전수출 사업을 독점했으나 기능조정으로 한수원도 해외에서 원전 수주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한전과 한수원은 원전수출협의회를 신설해 원전 수주 사업을 조율하기로 했다.
협상이 진행 중인 수주 프로젝트는 한전이 수행하고 기술 요건이 중요한 프로젝트의 경우 한수원이 주관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또 수주 가능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발주국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원자로 모델을 다변화하고 원전기자재 수출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날 논의된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관련 고시를 8월 말까지 개정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