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KT광화문지사 앞에서 '사드 한국 배치 결정 철회 촉구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사진=오진주 인턴기자]
아주경제 오진주 인턴기자 = 정부의 사드 배치 발표 이후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를 발표한 지 사흘이 지난 11일 서울 시내 곳곳에서 사드 배치 찬반 집회가 열렸다.
'사드 한국 배치 반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준)'와 '종북좌익척결단' 등 8개 시민단체는 11일 세종대로를 사이에 두고 각각 KT광화문지사 앞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사드 배치 반대와 찬성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미 양국이 지난 8일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사드·THAAD)를 한반도 내 주한미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이에 대한 여론이 뜨거워지고 있다.
사드 한국 배치 반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 KT광화문지사 앞에서 미국의 사드 한국 배치 결정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40여 명이 참가한 이번 집회에서 전국대책회의 측은 "사드가 한국에 배치되면 동북아 군비경쟁이 초래된다"며 “오히려 안보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30분 뒤에는 맞은편에 있는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종북좌익척결단 등 8개 시민단체가 ‘사드 배치 환영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용환 종북좌익척결단 대표는 “미국이 없다면 한국은 북한과 마주하게 될 것”이라며 “사드 배치 반대는 대한민국의 울타리를 허물겠다는 자해극”이라고 주장했다.
종북좌익척결단은 오후 1시에는 종로구 참여연대 앞에서 ‘사드 배치 반대하는 참여연대 규탄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들은 “참여연대는 북한에게 유리한 언행을 한다”며 참여 연대를 비판했다.
한편 사드 배치 지역에 대한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8일 한미 양국은 사드를 배치할 부지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경기도 평택시와 경북 칠곡군, 충북 음성군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각 지역에서 사드 배치 반대 집회가 이어지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