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향욱의 이런 망언이 나오기 전부터 이명박 정부부터 추진되고 있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자사고)’와 ‘특수목적고등학교(이하 특목고)’의 확대ㆍ비호, ’학생부종합전형‘과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입시의 확대 같은 상류층 집안의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정책들로 인해 교육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비판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지만 정부는 이런 비판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서울시교육청이 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려 하자 교육부는 이를 적극적으로 막았다.
교육희망네트워크는 10일 성명에서 나향욱의 망언에 대해 “교육부가 일관되게 추진해 온 차별과 경쟁 중심의 교육 정책이야말로 나향욱의 혀와 입을 움직인 몸통이고 두뇌다”라며 “단 한 명의 학생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지원과 협동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은 비효율로 치부해 왔다. 경쟁과 효율을 앞세웠으나 실질은 인간보다 자본이었고, 선발과 인재 육성을 표방했으나 결과는 특권 계층의 공고화였다. 최대량 최고난도의 교육과정, 국제중 설립, 자사고 특목고 확대와 대학서열화 강화, 그리고 정규 교육과정만으로는 준비 불가능한 복잡하고 어려운 입시, 이 모든 정책들이야말로 수많은 ‘나향욱들’의 합작품이다”라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