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의 일부 원외 인사들이 4·13 총선 패배와 관련해 11일, 청와대의 사과와 진박(진실한 친박) 퇴진 및 윤상현 의원 출당 등을 강하게 요구했다.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원외위원장협의회 전체회의'에서 김효재 서울 성북을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자유토론 시간에 이 같이 요구하며 "전당대회 대표, 최고위원에 출마하는 인사들은 이러한 문제제기에 답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우선 "청와대는 새누리당의 승리를 위해 헌신했던 당원 동지와 보수진영의 안정적 운영을 바라던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해야 한다"면서 "국정운영, 정치적 야심보다 국민만 바라보고 가겠다는 것을 실천할 것을 요구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총선 실패의 책임이 있는 당원들도 석고대죄하고 전당대회에 출마하면 안 된다"면서 "진박마케팅을 하며 국민의 마음을 후벼 판 인사가 있다, 국민이 더 잘 안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청와대 출신 후보들의 사무소 개소식 등에 참가하며 진박 감별사 역할을 했던 최경환 의원을 겨냥한 발언으로 추측된다.
또한 그는 "총선과정에서 막말 파문으로 당원들과 국민들을 화나게 한 윤상현 의원은 당에서 나가야 한다"면서 "최소한 국민 상식과 도덕 수준에 어긋나는 인사는 퇴출, 배제해야 하고 그런 정도의 책임의식 없이 국민에게 표를 요구하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의 복당과 관련해 "선거 전 마지못해 외부환경 때문에 탈당했다가 슬며시 복당해 새누리당 옷을 입고 활보하는 것은 (당의) 미래가 있는지 국민들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원외위원장들은 당의 혁신방안과 관련해서도 쓴소리를 잇따라 쏟아냈다.
이성헌 당협위원회장(서대문갑)은 "중앙당 시스템에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국민들과 밀착정치를 하는 원외위원장과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준길 서울 광진을 당협위원장은 "원내가 당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은 부적절하다"면서 "헌법 제8조 2항(정당은 그 목적과 조직, 활동이 민주적이어야 하며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조직을 가져야 한다)의 정신을 구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협위원장협의회'를 당규에 명문화하기로 한 비대위의 결정과 관련해서는 "당규가 아닌 당헌 개정을 통해 이를 공식화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밖에 황춘자 용산구 당협위원장은 "현역 중심의 선거 제도를 반드시 개선했으면 한다"고 요구했다.
원외 인사들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회의에 참석한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은 공감대를 표시했다.
범친박(친박근혜)계 후보인 이주영 의원은 "주요 당직자로 과감히 원외위원장을 발탁해서 중앙당 운영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폭을 넓혀야겠다"면서 "원외당협위원장이 되면 법적으로 위상에 대한 처우를 받을만한 근거가 없는 만큼, 국회에서 법률로 해야겠지만 제가 당 대표가 되면 지구당을 반드시 부활시켜놓겠다"고 밝혔다.
비박(비박근혜)계 정병국 의원은 "당에서 총선 백서를 만들어놓고도 발표시기를 저울질하는 것인지, 아니면 두려워서 주저하는 것인지 저는 잘 이해할 수 없다"면서 "(백서를) 바로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최고위원을 3차례 했지만 국민들은 봉숭아학당이라고 했다, 이러한 회의는 운영하지 않겠다"면서 "최소한 1주에 한 번은 시도당 연석회의를 현장에서 하겠다"고 선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