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정등용 기자 =최근 한국 만화·웹툰의 동남아시아 수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동남아시아 만화·웹툰 시장현황을 집중 분석한 보고서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국내 만화의 해외진출 사례는 늘고 있으나 그 성공사례가 부족한 원인이 각 진출지역에 대한 세밀한 시장정보가 부족해 전략적인 진출을 꾀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이달 초 ‘동남아시아 만화·웹툰 콘텐츠 시장 조사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보고서는 한류 콘텐츠의 신흥 소비국이자 최근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률이 급속하게 높아진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주요 3개국을 조사대상으로 해 각국의 만화·웹툰 산업규모와 소비자들의 이용실태를 정밀 분석했다.
특히, 한국 만화·웹툰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현장 인터뷰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해 향후 국내 만화·웹툰의 현지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소비자가 가장 웹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환경과 모바일 기기 이용이 양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3개국 소비자 모두 웹툰을 향후 가장 이용하고 싶은 만화 유형(48.3%)으로 꼽아 웹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한국 만화·웹툰의 성공적인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소비자들이 직접 생산·소비할 수 있는 웹툰 플랫폼 제공, 한류 콘텐츠와 연계한 웹툰 인지도 확산, 웹툰IP 활용 다양한 상품화와 매체화, 성급한 전면 유료화보다 단계별 부분적 유료화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동남아시아 만화·웹툰 콘텐츠 시장 조사 연구 보고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