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 인민은행이 '온건한' 통화정책 운용기조 유지를 강조하는 가운데, 중국 증권사가 "인민은행이 기준금리 등 통화완화 카드를 꺼내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해 주목된다.
국신증권 둥더즈(董德志) 수석 애널리스트가 17일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인민은행의 반응에 시장의 통화완화 기대감이 꺾인 상태지만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 혹은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카드가 곧 나올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고 밝혔다고 신랑재경(新浪財經)이 18일 보도했다.
중국 거시지표가 부진을 지속하고 시중 자금 회전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시장은 인민은행이 곧 지준율을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인민은행이 잇따라 온건한 통화정책 운용을 강조하고 공개시장 조작을 통한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면서 최근 시장 기대감이 힘을 잃은 상태다.
둥 애널리스트는 "지준율 등 통화완화를 할 모든 여건이 마련됐다"면서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고 광의통화(M2) 증가율도 크게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또, 미시경제 차원에서 접근할 때 중국 시중 유동성이 위축국면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근거라고 강조했다.
7월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이 1900억 위안이나 감소하며 자본유출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 것도 통화완화 조치를 재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8월에는 이러한 추세가 한층 심화돼 감소규모가 3000억 위안에 육박할 전망이다.
인민은행이 중기유동성창구(MLF) 등으로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고 있지만 현재 잔액규모가 1조7000억 위안에 달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만기에 자금을 환급해야하는 은행에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중국 물가 상승률도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올 상반기 2%대로 올라섰던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 6월 1.9%로 기록한 후 7월에는 1.8%까지 떨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