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은 23일 통계청 장래가구추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 비중이 2000년 34.7%에서 올해 54.7%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2008년을 기점으로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45.7%)가 3~4인 가구 비중(45.5%)을 넘어섰고, 2012년에는 50.5%로 전체 가구의 절반을 상회했다.
이 가운데 55세 이상 비중이 50.9%로 과반을 차지했다.
1∼2인 가구 중 중소형 주택에 거주하는 비중은 34세 이하가 9.6%, 35∼54세 18.6%, 55세 이상 49.9%로 고령층일수록 중소형 주택 거주 비중이 높았다.
실제 감정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2014∼2015년 자료를 기준으로 1∼2인 가구주의 이사 전후 전용면적을 추적 조사한 결과, 가구 확장 연령대인 35∼54세에서는 이사 이후 주거면적이 커졌다.
하지만 55∼64세는 이사 후 76.4㎡에서 74.6㎡로, 65세 이상에서는 80.8㎡에서 77.2㎡로 전용면적이 줄어드는 '다운사이징' 현상이 나타났다.
감정원 관계자는 "55세를 기점으로 근로자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자녀의 결혼 등에 따른 분가로 인해 가구의 주거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중소형 선호 현상으로 2012년 이후 전국의 아파트값은 전용 60㎡ 이하가 10.4%, 60∼85㎡는 5.8% 상승했다. 반면 전용 85∼135㎡는 1%, 135㎡ 초과는 7.1%가 각각 하락했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거래량도 2012년 81.5%에서 올해 6월 현재 87.2%로 높아졌다.
감정원 관계자는 "베이비부머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18년 이후 1∼2인 가구 증가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앞으로 중소형 주택 및 준주택의 안정적인 공급과 임대관리업의 성장 기반이 확보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