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은행권에 따르면 한진해운에 대한 금융기관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1조200억원 수준이다.
이 중 KDB산업은행의 익스포저가 6660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KEB하나은행이 890억원으로 뒤를 잇고 있다. 이밖에 △NH농협은행 850억원 △우리은행 690억원 △KB국민은행 530억원 △수출입은행 500억원 △부산은행 80억원 등이다.
2금융권의 경우 신용공여액은 약 1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한진해운의 경우 법정관리 돌입 시 법원의 파산 절차 가능성이 커 은행이 돌려받을 수 있는 채권액은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은행들이 손실을 미리 반영해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은 낮은 상태다.
산업은행은 이미 한진해운 여신을 추정손실로 분류해 100%를 충당금으로 쌓았다. 농협은행은 한진해운 여신을 회수의문으로 설정해 약 90%의 충당금을 적립했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회수의문으로 분류해 충당금을 100%가량 쌓았다.
다만 KEB하나은행의 경우 고정으로 분류해 절반 이상의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용보증기금도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통해 약 4000억원 규모의 한진해운 채권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