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희석 한강에셋자산운용 대표는 12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이처럼 밝혔다.
2015년 10월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설립 요건이 완화되면서 헤지펀드 전문 자산운용사가 잇달아 업계에 진출했다. 한강에셋자산운용도 이 가운데 한 곳이다. 이 운용사는 올해 2월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로 등록을 마쳤고, 인프라와 부동산 분야 사모펀드를 전문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방희석 대표는 인프라 부문을 책임지고 있다.
방희석 대표는 회사 이름에 '한강'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데 대해 “한강은 서울이 600년 도읍으로 성장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자연이 만든 사회기반시설"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경제발전이 '한강의 기적'으로 상징되고 있듯 우리도 인프라 사업을 통해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이루는 데 이바지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직은 민간 자본이 유입되는 인프라 사업 수가 부족한 게 사실이다.
방희석 대표는 "인프라 투자는 점점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이미 민간 자본은 교육 및 병영, 하수처리,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한강에셋자산운용은 내년 1분기 파주•양주 병영시설 민간투자사업(BTL) 참여를 위한 400억원대 BTL 펀드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회사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 1호인 동부권 국가폐수종말처리시설 개량사업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태영건설 컨소시엄에도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인프라 투자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분야 가운데 하나다.
한강에셋자산운용은 태양광발전사업 투자를 위한 500억원대 태양광발전펀드 투자자 모집을 완료해 이달 19일 펀드를 설립할 예정이다.
201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에 따르면 500MW 이상인 시설을 보유한 발전 사업자는 총 발전량 가운데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기업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공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인증서(REC)를 발급받아 이를 공급의무자에게 판매할 수도 있다. REC는 장기 고정가격 방식으로 매매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따른 수익성이 상당 부분 보장된다.
이뿐 아니라 복지나 문화, 폐기물 자원화 같은 우리 삶과 밀접한 곳곳으로 인프라 투자가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방희석 대표는 "인프라 사업과 그 결과물은 사용자인 국민에게 직접 사용료를 받을 수 없는 게 특징"이라면서 "이는 정부 예산으로 해야 하는 것이지만, 부족한 재원 때문에 정부가 펀드나 민간자본을 활용해 미리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는 국고채보다 높은 수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윈윈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방희석 대표는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대체 투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망한다.
특히 수익률이 낮은 국고채에 자금을 쏟아붓는 기관 투자자는 인프라 사업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개선할 부분도 없지는 않다. 대표적인 것이 유동성 문제다.
방희석 대표는 "주식·채권은 중간중간 사고팔 수 있지만 인프라 펀드는 거의 만기까지 보유해야 한다"며 "쉽게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품을 만드는 게 큰 숙제"라고 말했다.
개인 투자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
방희석 대표는 "기존 인프라 투자 펀드에 들어온 기관 자금도 어차피 연금을 통해 개인으로부터 모은 것"이라며 "개인이 직접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사모펀드 설립 방법을 생각하고 있고, 곧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인프라 투자를 대형 자산운용사가 주도했지만,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우리처럼 규모가 크지 않은 곳도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며 "틈새를 찾아서 성장한다면 금융산업 전반을 발전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