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우리나라는 수출 회복이 더딘데다 지진, 태풍, 부정청탁방지법 등 각종 변수로 믿었던 내수마저 살아나지 못하는 모양새다. 4분기 23조원 규모의 재정보강으로 급한 불을 끄겠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단기처방만 남발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중국의 경우 최근 해외투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업종도 제조업 위주에서 부동산, 서비스업 등으로 영역을 넓히는 추세다. 지난 2010년 이후 해외투자가 꾸준히 늘기 시작한 중국은 지난해 처음으로 해외투자가 외국 기업의 대중 투자금액을 상회했다.
세계 각국 해외투자는 2007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3.7%로 정점을 나타낸 이후 지난해 2.0%까지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다. 이런 분위기에 중국이 해외투자를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글로벌경제가 새롭개 재편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투자지역도 기존 신흥국 중심에서 선진국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2년 이후 미국, 유럽, 동아시아 비중이 증가했고 중남미, 중동 지역은 눈에 띄게 줄었다.
엽종 역시 2013년부터 부동산, 금융, 관광, 엔터테인먼트 비중이 높아졌다. 중국 해외투자가 원자제 중심에서 기술 및 소비재 산업까지 투장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는 부분이다.
해외투자 기관들은 중국이 적극적인 해외투자로 국가경쟁력을 선점하는데 효과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미쯔비시 등 해외투자 기관들은 “중국은 과잉공급 해소, 대규모 부채 및 재고 축소 등 과제들이 남아있다”고 전제한 뒤 “해외투자를 통한 과감한 세계화는 경제체질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다른 국가와 협력을 강화해 향후 국제 경쟁력 제고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해외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내수 진작에 갈 길이 바쁘다. 급기야 4분기 재정보강이라는 강수를 꺼내들고 내수 불씨 살리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4분기 경기대응 방안으로 내놓은 신용카드 활용 강화 등은 정부가 낼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지나치게 단기부양책이 계속 나오다보니 시장에서 투자 시점을 잡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부정청탁방지법 역시 음식업 등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매출 감소가 불가피해 졌다. 위축된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 해외투자 등 장기적 플랜으로 대체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이유다.
민간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작은 특성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경제가 수출에 의존했던 것도 내수 시장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중국과 같이 해외투자 등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경기부양의 중장기적 플랜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