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황창규 KT회장이 유엔과 글로벌 통신사업자에게 제안한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구상이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본격화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부터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감염병 위험국가 방문 후 귀국시 의료기관 신고를 안내하는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의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의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이 확인되면, 2~3주 동안의 감염병 잠복기간 동안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전국 의료기관은 오염국가 방문자 정보를 공유하게 돼 해외 감염병 감시체계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KT가 먼저 제안해 선도적으로 추진한 사업이기 때문에 먼저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고, 내년 4월부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가입자도 포함시켜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발생한 국내 메르스 사태에선 최초 메르스 발병자가 메르스 발병국인 사우디아라비아 경유 사실을 숨기면서 검역당국의 대응에 혼란이 발생했다. 검역당국은 해외 여행자의 최종 출발지는 파악할 수 있으나, 경유지는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KT는 해외 로밍서비스를 활용한 이용자의 여행경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추출해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면서 서비스 개발이 시작됐다.
황 회장은 지난 6월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 서밋' 강연에서 KT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에 기여한 사례를 공유하면서 "전 세계 73억대에 이르는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위치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AI뿐만 아니라 사스, 메르스, 지카, 에볼라와 같은 감염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해외에서도 공공서비스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잇따른다. 미국 뉴욕경찰은 감시 카메라와 SNS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해 사건 발생지역을 예측해 순찰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개인정보 취급 수집은 민감한 부분이지만, 법개정으로 관련 서비스가 가능해졌다"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이번 서비스로 감염병 국내 유입 대응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KT 관계자는 개인정보 취급에 대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출한 위치정보 데이터는 감염병 잠복기 2~3주가 지나면 파기한다"면서 "이용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성별, 휴대전화 번호, 경유지의 감염병명만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