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987년 6·10 민주항쟁 이후 최대 규모인 100만명의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박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대안세력인 제1야당이 정치적 셈법에만 골몰, 한국 정치의 전면적인 세대·시대·세력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이다. 이 경우 청와대를 비롯해 여야 정치권은 정국 주도권 확보를 위해 ‘강(强) 대 강(强)’ 구도로 일관할 가능성이 크다. 정국 교착 상태가 이전보다 한층 고착될 수 있다는 얘기다. <관련 기사 4·6면>
영수회담 무산 후폭풍이 정치권을 휩쓴 15일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은 교집합을 형성하지 못했다. 청와대는 이날 추 대표의 일방적 영수회담 취소에 대해 ‘유감’을 나타냈다. 정연국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야당도 정국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추 대표의 영수회담 단독 제안으로 촛불정국에서 2선으로 빠진 새누리당은 “얄팍한 정치 계산”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같은 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하야정국’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 만들기’에 몰두하고 있는 게 아닌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개헌을 통한 국면전환에 불을 지폈다.
제1야당이 최대 위기를 맞자, 문재인 전 대표까지 공식 기자회견을열고 “대통령이 조건 없는 퇴진을 선언할 때까지 국민과 함께 전국적인 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천명했다.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인 문 전 대표까지 박 대통령 퇴진에 방점을 찍음에 따라 범야권은 ‘하야·탄핵’ 등을 고리로 퇴진 압박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의당은 추 대표의 회군을 환영하면서도 추 대표의 비선라인을 언급하며 날을 세웠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추 대표의 비선라인을 겨냥, “추미애의 최순실이 있다”고 비판했다. 야권 공조 재시동을 위한 스크럼이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
채진원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여야 정치권이 대화와 타협을 통해 설득의 정치를 보여줘야 한다”며 “강경 기류에만 의존할 경우 공동체가 극단적인 사태로 치닫게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