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 업무보고’에서 전국 17개 지역에 구축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민간의 참여를 확산시키고, 자체 수익 모델 창출을 가속화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특히 전략적인 투자자를 육성해 스타트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기로 하고,투자방식의 다변화와 유망 벤처기업에 대한 밀착지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6일 발표한 ‘2017년 업무보고’에서 그동안 쌓아 온 창조경제 성과를 확산시키는데 역점을 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자립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혁신센터별 특성과 지역별 여건을 고려한 역할 차별화와 민간의 참여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예컨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담해 온 한진그룹에 KT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담한 현대중동업에 UNIST(울산과학기술원)를 추가 보완해 산학협력과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연계를 활성화한다.
또 청업 인프라가 잘 구축된 대구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국 단위의 창업 거점으로 키우고, 부산과 충남 등 특화된 기능을 갖춘 혁신센터는 전체 센터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할 계획이다.
이어 벤처와 창업의 열기를 성공스토리로 이어나가고, 새로운 분야에 혁신형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전략적 투자자(CVC)를 육성하고, 투자대상과 방식을 다변화해 자금 조달 환경 개선과 재도전 안정망 강화를 추진한다. 미래부는 벤처특별법, 창업지원법 등 현행 지원제도를 재검토해 오는 4월까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혁신센터에서 육성하는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R&D, 마케팅 등 취약 분야를 밀착 지원해 우수 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에 대한 R&D 자금 지원도 추진한다.
특히 신기술 비즈니스모델 개발이 가능한 ‘청년 혁신가’를 올해 450명 규모로 양성하고 이들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해 혁신센터별 청년 혁신가를 선발하는 등 지역 라이프 스타일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도 1500억원 규모의 ‘미래기술 1,2,3호 펀드’를 본격적으로 운용해 공공기술을 시장에 전달하는 바톤존 서비스와 연구개발업 집적단지를 조성해 공공기술 기반 사업화를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사물인터넷(IoT), 정보보호, 고성능컴퓨터 등 신기술 테스트베드를 조성하고, 해외투자자 지원센터 운영 등 해외 접점을 확대해 ‘판교 창조경제 밸리’를 글로벌 창업 혁신의 중심지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고경모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은 “창조경제단지와 창조경제밸리 등 충분한 지역적 역량을 갖춘 대구와 경기센터의 입지를 살릴 계획”이라며 “서울도 창업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어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창업 거점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