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7/20170117150452671718.jpg)
[박원순 서울시장]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공식적으로 차기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박원순 서울시장이 대선 전 공동정부 체제의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을 주장했다.
박 시장은 17일 서울시 출입기자단과 가진 신년 오찬간담회에서 "정말로 이 시기에 공동정부를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동정부 또는 연립정부는 현재 다당제를 하나로 모으는 것이다. 최근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이런 구상을 전한 바 있다.
앞서 박 시장은 "과거 산업화, 민주화란 성공신화를 더 이어가지 못하는 한 20년, 길게는 30년 전부터 방향을 잃었다. 이 때문에 미래를 통찰하는 힘과 그 방향으로의 강력한 추진력이 요구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연장선에서 박 시장은 연정이나 협치를 시대정신으로 정리했다. 그러면서 "온국민이 바라는 개혁과 혁신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소수정부로는 어렵다. 이미 경험했다. 혼자 독식하려면 절대 안된다"고 입장을 재확인시켰다.
박 시장은 공동정부를 구성해야 할 시기에 대해 대통령 선거 전이라고 못 박았다. 향후 당선이 된 이후에는 권력을 나눠주기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공동경선을 통한 공동정부의 구상과 실천이 정권교체로 나아가는 매우 확고한 길이다"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경선 룰 시비가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한 가운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탈당 전망에 관해 '절대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박 시장은 "한번 선택하면 거기에 대해 자신이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제가 불리해졌다고 나가고 그럼 국민들이 좋아하겠나"라고 반문한 뒤 "그런 생각은 전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당장 당내 '문재인 대세론'과 관련해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구체적으로 "마치 따놓은 당상처럼 다 된 밥처럼 생각하면 국민들은 이에 대해서 응징한다고 생각한다. 교만하고 자만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주장을 폈다.
박원순 시장은 유력한 대권주자로 거론 중인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서는 견제의 목소리를 냈다. 서울시장의 직함이 현직이란 프리미엄이면서 동시에 선거운동 때 활동상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박 시장은 "그분들은 사실 자유롭다. 24시간 지방을 돌아다닐 수 있고, 무슨 얘기를 해도 되는 입장이다. 난 서울시장으로 여기에 자리하는 한 시민들에 대한 책임이 있다"며 "주말을 이용해서 지방을 가보는데 그때도 서울이 걱정된다. 지금에 처한 어려운 환경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