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도 융합연구정책센터 소장은 이처럼 말하며 4차 산업혁명이 빠르게 도래하면서 '융합 산업'이 그 중심에 설 것으로 전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 기술을 융합의 기반으로 IT분야뿐만 아니라 예술·인문사회, 나아가 정부와의 융합까지 다양한 형태로 융합 패러다임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산·학·연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융합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미래세대를 이끄는 새로운 융합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를 주재한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과학기술이나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 일으키는데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에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면서 "융합 패러다임은 예술·인문사회, 정부와의 융합까지 다양한 형태로 실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미정 미래부 융합기술과장은 "아직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와의 융합 R&D 비율은 7% 수준"이라며 "향후 미래부는 'AI-바이오-로봇' 융합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 형태의 융합 R&D는 물론, 다부처 공동 R&D, 인문사회·예술 등 타 분야와의 소규모 융합 R&D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자유토론에서는 산·학·연의 의견들이 이어졌다. 이날 참석한 최종웅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대표는 "융합은 연구가 목적이 돼서는 안되고 비즈니스 융합이 돼야한다"면서 "이를 위해서 정부는 기업의 초기의 아이디어를 위한 생태계를 만들어주고 길을 터주는 역할만 해야한다. 나머지는 기업의 몫으로 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진성 롯데그룹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기술을 흡수하지 않으면 기업은 망한다. 이는 생존의 문제"라면서 "오픈 이노베이션을 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이 융합 생태계를 위해 '투자'라는 역할을 하려면 스타트업들의 정보 제공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양희 장관은 "미래부는 앞으로 융합을 위해서는 자체가 이끄는 정책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돕고, 제도·규제를 개선하며 인프라 만드는 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