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토론회를 둘러싼 캠프 간 신경전이 가열되는 가운데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제안한 '끝장토론'은 사실상 무산됐다. 안 지사와 이 시장은 '수박 겉핥기식' 토론회를 문제 삼아 무제한 토론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측이 "경선은 당에 백지위임했기 때문에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해결할 문제"라고 미루면서 논쟁만 격화되는 양상이다. 민주당 선관위 측은 토론 방식은 방송사 재량으로 선관위가 정할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이어서 현재로선 '끝장토론'이 성사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3차례 토론회를 진행했으며 17일 종편TV 합동토론회를 포함해 앞으로 7차례 토론회가 남아 있다.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주장은 남은 토론회는 무제한 토론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지난 3차례의 토론회가 1시간 반에서 2시간가량으로 짧고 참모가 써준 원고를 읽는 '맹탕토론'에 그쳤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경선 참여자나 일반 국민이 후보의 자질과 정책 능력을 파악하기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안 지사 측은 지난 15일 "앞으로 예정된 토론회는 '후보 간 1대1 토론'을 원칙으로 하자"고 제안했고, 이 시장도 "토론회 시기와 방법, 절차, 내용 등 모든 것을 문재인 캠프에 백지위임할 테니, 주제 제한이 없는 무제한 토론을 진행하자"고 합세했다.
그러나 문 전 대표 측은 16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우리가 (정책, 토론은) 훨씬 많이 준비돼 있지만 경선 관련 모든 것을 당에 백지위임한 상태"라며 "흥행 전략과 컨벤션 효과, 공정성 등을 감안해 당이 정해줘야 할 문제고 당이 정해주는 대로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안 지사와 이 시장 측은 토론회 방식은 방송사 재량이며, 후보가 합의해 방송사에 의견을 제시하면 얼마든지 반영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안 지사 측은 통화에서 "3차례 토론회를 거치면서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꼭 끝장토론 형식에 연연하는 게 아니라 실질적 토론이 되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문 전 대표 측이 당이 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데 대해선 "지난번 선거인단 모집 기간을 정할 때도 당 지도부가 문 전 대표 측에 유리하게 하지 않았느냐. (끝장토론을) 안 하고 싶다는 뜻"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 시장 측도 "토론 시간과 방식 등은 방송사 재량이다. 앞으로 남은 7번의 토론회는 후보들이 합의해 공통 질문은 최소화하고 끝장토론하자는 것"이라며 "문 전 대표 측은 선관위 핑계를 대는데 유권자의 알 권리 보장과 철저한 검증을 위해 후보 간 합의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 측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민생 경제, 대연정 등 주제별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송곳 검증'이 가능하도록 토론 방식을 바꾸자는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제안을 문 전 대표 측은 '경선 룰'을 바꾸는 문제로 보면서 평행선을 달리는 셈이다. 하지만 선관위 측은 토론회 주제와 형식은 토론회를 주관하는 방송사에서 정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주장과 일치하는 설명이지만, 안 지사와 이 시장의 '끝장토론' 제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못을 박았다.
김상희 선관위 부위원장은 통화에서 "토론회 주최는 선관위지만 주관은 방송사다. 후보나 당에서 방송사에 의견을 제시할 순 있지만 토론 형식은 선관위가 정하는 게 아니다"라며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해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방송사에 사전에 제시했고 후보들도 합의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3차례 토론회를 진행했으며 17일 종편TV 합동토론회를 포함해 앞으로 7차례 토론회가 남아 있다.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주장은 남은 토론회는 무제한 토론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지난 3차례의 토론회가 1시간 반에서 2시간가량으로 짧고 참모가 써준 원고를 읽는 '맹탕토론'에 그쳤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경선 참여자나 일반 국민이 후보의 자질과 정책 능력을 파악하기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안 지사 측은 지난 15일 "앞으로 예정된 토론회는 '후보 간 1대1 토론'을 원칙으로 하자"고 제안했고, 이 시장도 "토론회 시기와 방법, 절차, 내용 등 모든 것을 문재인 캠프에 백지위임할 테니, 주제 제한이 없는 무제한 토론을 진행하자"고 합세했다.
그러나 문 전 대표 측은 16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우리가 (정책, 토론은) 훨씬 많이 준비돼 있지만 경선 관련 모든 것을 당에 백지위임한 상태"라며 "흥행 전략과 컨벤션 효과, 공정성 등을 감안해 당이 정해줘야 할 문제고 당이 정해주는 대로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안 지사 측은 통화에서 "3차례 토론회를 거치면서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꼭 끝장토론 형식에 연연하는 게 아니라 실질적 토론이 되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문 전 대표 측이 당이 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데 대해선 "지난번 선거인단 모집 기간을 정할 때도 당 지도부가 문 전 대표 측에 유리하게 하지 않았느냐. (끝장토론을) 안 하고 싶다는 뜻"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 시장 측도 "토론 시간과 방식 등은 방송사 재량이다. 앞으로 남은 7번의 토론회는 후보들이 합의해 공통 질문은 최소화하고 끝장토론하자는 것"이라며 "문 전 대표 측은 선관위 핑계를 대는데 유권자의 알 권리 보장과 철저한 검증을 위해 후보 간 합의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 측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민생 경제, 대연정 등 주제별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송곳 검증'이 가능하도록 토론 방식을 바꾸자는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제안을 문 전 대표 측은 '경선 룰'을 바꾸는 문제로 보면서 평행선을 달리는 셈이다. 하지만 선관위 측은 토론회 주제와 형식은 토론회를 주관하는 방송사에서 정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안 지사와 이 시장의 주장과 일치하는 설명이지만, 안 지사와 이 시장의 '끝장토론' 제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못을 박았다.
김상희 선관위 부위원장은 통화에서 "토론회 주최는 선관위지만 주관은 방송사다. 후보나 당에서 방송사에 의견을 제시할 순 있지만 토론 형식은 선관위가 정하는 게 아니다"라며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해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방송사에 사전에 제시했고 후보들도 합의했다"고 말했다.
끝장토론과 관련해선 "1대1 토론을 하면 토론을 몇 번을 더 하게 되겠는가. 다른 당도 있는데 형평성의 문제도 있다"면서 "상대가 있는 문제인데 안 지사와 이 시장이 문 전 대표 측이 안 받는다고 매도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남은 7차례 토론회 외에 추가 토론회 개최 문제는 선관위가 주최할 수는 없고 후보와 방송사, 시민단체 등 합의로 가능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