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
일본 언론도 미·일 정상의 이날 통화를 북한 미사일 발사 계기에 이뤄졌다고 전했다.
미·중 정상회담(미국 현지시각 6∼7일) 후 상호 가장 편리한 최단 시일 내에 한미 최고위급 간에 전화 협의를 할 예정으로 전해졌지만, 북한의 5일 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기 위한 한미 정상 간 통화는 없었다.
대신 한미 간에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마스터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사이에 전화 협의가 있었다.
이와 관련해 정부 당국자는 6일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간에 긴밀한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간에 긴밀한 조율이 이뤄지고 있으며, 외부에 비치는 한일 간의 차이는 한국의 대통령 궐위 상황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고 보고 있다.
그렇다 치더라도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짜는 시기에 어떤 이유에서건 한국이 최우선 논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듯한 느낌을 대수롭지 않게 넘길 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라는 안보상 변수가 있었던 직후 미 정상이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인 한국을 제쳐놓고 일본과만 통화한 것은 일각에서 일고 있는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의 방증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이 한반도 문제 논의에서 한국을 배제한다는 '코리아 패싱'에 대해 외교 당국은 강하게 부정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2월 23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하면서 "일본에 매우 불공정하다"고 말하고 한국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은 바 있다.
또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15∼19일 한·중·일 3국을 순방하면서 가진 자국 언론과의 인터뷰 때 일본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동맹국'으로 칭하고,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라고 칭한 것을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의사소통에 혼선이 있었던 것으로 정리됐지만 틸러슨이 세 순방국 중 한국에서만 만찬을 하지 않은 것도 여러 억측을 낳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