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내년 한국 기업이 안정적인 신용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크리스티안 드 구즈만 무디스 이사는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한국신용평가와 함께 진행한 '2018 한국신용 컨퍼런스'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주요 지역이 모두 경제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국가가 특히 혜택을 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구즈만 이사는 이어 "수출과 함께 소비·투자 부문도 되살아나고 있어서 새로 출범한 정부 입장에서도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이행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작년 말부터 시작된 기저효과를 대부분 반영한 상황에서도 수출 등 경제 환경이 지속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경제의 리스크로 꼽히는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선 "하나의 성장 제약, 우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는 있다"면서도 "지난 몇 년간 이 문제에 대한 문제 인식이 이어져 왔고 관련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이제 그 효과를 기다려볼 때"라고 평가했다.
유건 한신평 기업평가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자동차와 유통, 면세 업종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이슈가 해결된다고 해도 상당 기간 비우호적 환경에 처할 것"이라며 "면세 업종의 경우 비용구조, 경쟁 심화 등이 단기적으로 해결되기 힘들고 유통업종도 수익성 지표가 최근 5년사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크리스티안 드 구즈만 무디스 이사는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한국신용평가와 함께 진행한 '2018 한국신용 컨퍼런스'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주요 지역이 모두 경제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국가가 특히 혜택을 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구즈만 이사는 이어 "수출과 함께 소비·투자 부문도 되살아나고 있어서 새로 출범한 정부 입장에서도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이행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작년 말부터 시작된 기저효과를 대부분 반영한 상황에서도 수출 등 경제 환경이 지속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경제의 리스크로 꼽히는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선 "하나의 성장 제약, 우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는 있다"면서도 "지난 몇 년간 이 문제에 대한 문제 인식이 이어져 왔고 관련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이제 그 효과를 기다려볼 때"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