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식용곤충 사육시 발생하는 병원균 막는 미생물 발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상주) 피민호 기자
입력 2017-11-30 14: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식용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를 사육할시 발생하는 진균성 병원균(녹강병균과 백강병균)에 항균력이 우수한 토양미생물을 발견해 지난 10일 특허 출원을 했다고 밝혔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예로부터 ‘굼벵이’라 불리는 고단백 영양식품으로 2016년 12월 식품의약안전처로부터 식품원료로 인정받은 곤충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미래 식량 산업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식용곤충 산업에서 곤충 병원균에 대한 친환경 방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연구를 2016년부터 착수했다.

연구진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치명적인 녹강병균과 백강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가 우수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에파션스 NBC241’ 균주를 낙동강 수계의 토양에서 분리했고, 특허 출원 및 개발 미생물의 국제특허기탁을 완료했다.

이 균주는 녹강병 및 백강병 등의 곤충 병원균 뿐 만 아니라 주요 식물의 병원균에도 높은 항균활성능력을 보여 친환경 미생물 제제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확인됐다.

연구진은 배양한 NBC241 균주를 5×107 CFU/㎖의 농도로 맞춰 참나무톱밥의 전체 부피의 1%가 되도록 첨가하고, 수분함량 60%로 10일간 발효를 실시했다.

발효된 톱밥에 녹강병균 및 백강병균의 포자를 각각 인공 접종해 30일 동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녹강병에 대하여는 83.3%, 백강병에는 73.3%의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진은 NBC241 균주를 대상으로 식물 병원균인 잿빛곰팡이병균, 시들음병균, 잘록병균 등을 직접 분양받아 항균활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높은 항균력을 확인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약 3,039억 원 규모인 국내 곤충 산업이 2020년에는 5,363억∼5,582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곤충 사육장의 증가로 곤충병원균 문제도 발생되고 있으나 곤충병 방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이번 연구는 빠르게 급성장 중인 식용곤충 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로 성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에 발견한 항균 미생물은 화학농약의 사용이 제한적인 식용곤충 사육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제의 중요한 생물소재”이며, “향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곤충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육될 수 있도록 생물제제 원천기술 개발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