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5/20171205143330475400.jpg)
노사발전재단[사진=노사발전재단]
중소·중견기업 10곳 중 1곳만 유연근무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노사발전재단이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 '근로시간 유연화 및 단축제도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 가운데 89.0%(623곳)로 집계됐다. 중소·중견기업 내 유연근무제의 정착이 여전히 더딘 셈이다.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를 활용하는 기업(90곳) 중에서는 시차 출퇴근제를 채택한 곳이 58.9%(53곳)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선택근무제(19곳·2.7%), 재량근무제(18곳·2.5%) 순이었다.
유연화 제도를 활용한 이유로는 '근로자의 복지와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운영한다', '업무능력(생산성) 향상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31.6%로 가장 많았다.
향후 정부 지원제도를 활용할 의사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34.8%(181곳)가 시차 출퇴근제, 재량·선택근무제 같은 유연근무제와 재택·원격근무 지원제도 도입을 원했다.
이번 조사에는 '2017년 일·가정 양립 사업주단체 협력사업'을 시행 중인 6개 사업주단체 회원사 700개 기업의 노사 대표와 인사·노무 담당자가 참여했다.
전체 응답 회사 가운데 300인 미만의 중소·중견기업이 전체의 79.6%(557곳)를 차지했다.
이정식 재단 사무총장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일하는 방식을 바꿔 현재의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 재단은 기업의 '일·생활 균형의 직장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