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말을 키우는 데 적합할 뿐 아니라 지리상으로도 일본열도와 남 중국을 굽어볼 수 있는 제주를 손에 넣음으로써 몽골은 더 넓은 바다로 나아갈 수 있는 절묘한 해상기지를 얻었다. 몽골의 고려정벌, 그 것은 일본열도를 손에 넣기 위한 수순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몽골이 일본 정벌을 준비하는 데 소요되는 대부분의 인적 물적 부담은 이제 몽골이 아니라 고스란히 고려의 몫으로 넘겨졌다.
▶ 일본에 보낸 쿠빌라이 친서
▶ 답장 없이 묵살한 일본
비교적 정중한 어투의 안부편지로 교류를 희망한다는 것이 주요 핵심이다. 앞에 붙은 상천권명은 그대로 받아들이면 하늘을 우러러 명을 받들라는 뜻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위대한 텡그리의 이름으로’라는 의미다. 몽골 황실 편지에 의례적으로 붙는 말로 무뢰한 표현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의 불선백은 신하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 것을 보면 일본을 속국으로 보고 조공을 요구했다는 주장도 무리가 있어 보인다.
끝 부분에 ‘병사를 사용하는 일을 누가 좋아하겠는가?’하는 부분이 협박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무게가 실려 있는 부분이라기보다는 ‘서로 잘해보자’라는 의미가 강하다는 지적이다.
▶ 對日 전쟁에 나설 여유 없었던 시기
고려의 중개 역할 속에 몇 차례 일본을 방문한 몽골 사절단이 비슷한 내용의 글을 몇 차례 보냈지만 일본은 그때마다 아무런 답장을 주지 않은 채 묵살했다. 서신을 보낸 시기는 지원 3년(1266년)부터 지원 10년(1273년)사이로 쿠빌라이의 즉위 초기였다.
이 시기는 쿠빌라이가 겨우 제위전쟁을 끝내고 한숨을 돌린 때로 고려와의 전쟁이 완전 마무리되지도 않았고 남송과의 본격전쟁은 아직 시작 전이었다. 한마디로 일본과의 전쟁에 나설 여유가 없던 시기였다. 이 때 일본을 윽박지르는 편지를 보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도 일본은 왜 이를 무시하는 고집스런 자세를 보였을까?
▶ 일본, 가마쿠라 막부 통치 시기
이 시기에 일본국왕은 명목상으로 최고 통치자였을 뿐 실제 국가 운영의 권한은 막부가 가지고 있었다. 막부제도는 막부의 우두머리이자 대장원의 소유자인 세이이 다이쇼군(征夷大將軍)이 실질적으로 국가의 최고 권력을 행사하는 군사 통치 체제로 볼 수 있다. 세이이 다이쇼군을 줄여서 통상 쇼군(將軍)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쇼군을 대신해 실제 정치를 총괄하는 것은 시켄(執權; 쇼군의 섭정)이었다. 이 막부제도는 명칭만 바뀌었을 뿐 1868년 명치유신이 일어날 때까지 이어진다.
▶ 막부 정권 붕괴 우려 강경대응
1268년 호조 도키무네(北条時宗)가 제8대 싯켄직에 오르면서 일본의 실권자가 됐다. 그는 두 달 전 도착한 쿠빌라이의 친서가 일본의 굴복을 요구하는 내용인 것으로 파악하고 격노했다. 만일 일본이 쿠빌라이에게 굴복해 몽골의 휘하에 들어간다면 가마쿠라 막부가 당장 붕괴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특히 재기를 노리는 교토의 천황세력과 쿠빌라이와 손을 잡을 경우 당장 호조가문 타도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봤다.
그래서 몽골에 대해 강경 대응에 나서는 쪽을 선택했다. 이 점은 고려의 최씨 무신정권이 정권이 무너질 것을 우려해 몽골에 대해 강경자세를 취했던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그래서 1271년 몽골이 다시 쿠빌라이의 친서를 보냈을 때 일본은 아예 전쟁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 ‘괘씸죄’ 성격 짙은 對日공격
그렇기는 하지만 도키무네를 비롯한 막부의 실력자들은 아무래도 당시 바깥세상 읽기에 게을리 했던 인상이 짙다. 섬 밖 대륙의 정세를 제대로 살피고 있었다면 쿠빌라이의 편지를 전적으로 무시하면서 상대방을 화나게 만드는 일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상대방이 어떤 의도를 가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라도 적절한 응답하는 유연한 자세를 보일 수도 있었다.
그랬다면 몽골이 일본에 대한 공격을 보류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일본은 무응답으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아예 무시하는 자세를 보였다. 그래서 몽골의 전쟁 결심은 거의 ‘괘씸죄’의 성격이 짙었다.
▶ 남송 작전과 동시에 진행된 원정
두 개의 정벌 계획이 거의 동시에 발표된 것을 보면 두 작전은 별 개의 것이 아니고 서로 연계돼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서에 대해 답을 보내지도, 사신을 보내지도 않은 일본은 당시 남송과는 서로 활발한 교역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 정벌은 남송과 일본 사이에 있을지도 모를 군사적 해상 연대를 차단한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을 것이다.
▶ 고려에 떨어진 원정준비
원정을 통해 일본을 손보겠다는 결정의 불똥은 곧바로 고려로 떨어졌다. 이때는 이미 원종이 개경으로 천도한 후 대원제국에 신하의 예를 다하겠다고 맹세한 시점이다. 그래서 몽골의 지시를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 수군의 원정 참여는 물론이고 선박 건조와 군량미 조달 등 전쟁과 관련된 힘든 준비는 모두 고려의 몫이 됐다.
▶ 일본, 대비 못해 후퇴전략 선택
그래서 하카다와 하코자키를 버리고 본영이 있는 다이자후(太宰府)로 물러났다. 다이자후는 지금 후쿠오카 교외에 있는 소도시다. 이곳에는 일본이 학문의 신으로 받드는 천 년 전의 인물 스가와라 미치자네(菅原道眞)을 모시는 텐만구(天滿宮)신사로 이름이 알려진 곳이다. 그래서 연간 7백만 명 전후의 관광객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 소극작전에 태풍 덮쳐 실패
수많은 배들이 암벽과 암초에 부딪쳐 부서지고 무려 1만 3천여 명이 물속에 수장됐다. 그 대부분이 보급선을 담당했던 고려인 뱃사람들이었다. 애꿎은 고려인들의 희생만 남긴 채 연합군은 철수했다. 일본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원정은 실패했다. 그리고 두 번째 원정은 그 7년 뒤에 단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