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8/20171208095158894310.jpg)
경기도청
경기도가 내년에 1721억원의 예산을 투입, 6만6483개의 노인일자리를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5만 1019개보다 1만 5464개(30.3%) 증가한 것이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공공분야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익활동분야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 민간분야 틈새시장을 공략한 시장형 △기업에 노인인력을 파견하는 인력파견으로 구분돼 추진한다.
공익활동분야에는 노노케어 장애인봉사 공공시설봉사 취약계층지원 경륜전수 등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등이 있다. 5만2630명의 노인이 참여하며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가 월 30시간 이상 일할 경우 27만원의 활동비를 받는다.
시장형 노인일자리는 소규모 매점이나 전문 직종 사업단 등을 공동으로 운영하는것으로, 학교급식도우미 스쿨존교통지원 공동작업형 아파트택배 식품제조 및 판매 등의 분야에 1만599개의 일자리가 제공된다. 60세 이상이면 참여 가능하며 임금은 근로시간과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된다.
인력파견형은 일정교육을 수료하거나 관련된 업무능력이 있는 노인에게 경영 통계 고객상담 교육강사 시험감독 요양 간병 운송 배달 요금정산 매표 주유 청소 환경미화 주차관리 등에 3254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밖에 사업실적이 우수한 시장형 사업단을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추진하는 최대 3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고령친화기업으로 지정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 경기복지재단의 복지플랫폼에 노인일자리 정보를 제공해 누구나 손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베이비부머 세대의 재취업 준비교육과 노후준비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할 예정이다.
강윤구 경기도 사회적일자리과장은 “노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를 통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