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누적 항공화물 4천만 톤 돌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흥서 기자
입력 2018-02-26 13:5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개항 이후 항공화물 연평균 5.8% 및 17년 한해 7.6% 증가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정일영)는 26일 인천국제공항의 국제 항공화물 누적 물동량이 4000만 톤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개항 이후 연평균 약 5.8%의 증가세를 보여 온 인천공항의 국제화물 물동량은 2006년 6월 15일 누적 1000만 톤, 2010년 7월 2일 2000만 톤, 2014년 6월 24일 3000만 톤을 돌파했으며, 개항 17년 만인 올 해 4000만 톤을 넘어섰다.

누적화물 4000만 톤은 2017년 전 세계 항공운송 물동량 7050만 톤의 57%에 달하는 수치로, B747-400 화물기(적재톤수 100톤)가 일 년 간 매일 1096편씩 운항한 셈이다.

인천공항은 대한민국 항공수출입 물동량의 95%를 담당하고, 전체 교역액의 29.4%, 전체 무역수지 흑자규모의 40%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경제관문으로서, 개항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맥을 같이해 왔다.

특히 인천공항공사가 개발해 2006년부터 운영 중인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은 화물터미널(113만6171㎡)과 공항물류단지(154만4915㎡) 에 항공사, 물류 ․ 제조기업 등 664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1만 4천여 명의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 및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인천공항 화물터미널[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공항의 화물 물동량은 개항 첫 해인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3.6%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으나, 세계경기 침체와 화물 경량화 추세 등으로 인해 2011년부터 3년간 정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인천공항공사가 정부 및 항공사와 연계해 신규 수요를 발굴하고 화물 유치 마케팅을 꾸준히 시행한 결과, 2017년 물동량은 전년대비 7.6% 증가한 292만 톤을 기록했다.

한편, 인천공항공사는 2016년 제2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 ․ 발표된 “인천공항 항공물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라 항공물류 인프라 확충 및 제도개선을 추진 중이다.

3단계 공항물류단지(31만3154㎡) 개발사업이 2019년 하반기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 아틀라스에어 화물터미널(1만6500㎡), 특송사 전용터미널(2만3425㎡) 등 신규 화물터미널 개발 역시 추진 중이다. 또한 2019년 신선화물 전용시설(1만8087㎡)의 개발이 완료되면 환적화물 연결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신선화물 확대와 환적물동량 증대를 위한 물류 인프라가 확충될 전망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인프라 확충과 함께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절차 간소화, 자유무역지역 건폐율/용적률 완화 등 물류프로세스 및 제도개선을 통해 항공화물 증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인천공항공사 임병기 미래사업추진실장은 “인천공항은 정부와 항공사, 물류기업들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개항 17년이라는 단기간에 누적화물 4천만 톤을 달성할 수 있었다.”면서 “3단계 공항물류단지, 신규 화물터미널, 신선화물 전용시설 등 물류인프라를 적기에 확충하고, 신 시장 및 신 성장 화물을 적극 발굴해 명실상부한 동북아 물류허브공항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