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5일부터 순차적으로 나오는 코스닥 벤처펀드 64개 가운데 약 84%에 해당하는 54개는 사모펀드다.
사모펀드는 자본시장법상 최소 가입액만 1억원이다. 펀드 부채비율이 200% 이상이면 3억원까지 올라간다.
더욱이 자산운용사 다수는 이보다도 훨씬 높은 가입액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모펀드는 '49인룰'에 따라 49인까지만 모집할 수 있어서다. 즉, 최소 가입액을 올리지 않으면 '규모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실제로 헤지펀드로 선두를 달리는 타임폴리오자산운용도 가입자격을 10억원 이상으로 잡았다.
소액 투자자도 참여할 수 있는 공모펀드에 대한 관심은 규제 탓에 시들하다. 공모펀드는 회사채를 편입하려고 해도 복수 신용평가사로부터 등급을 받아야 한다. 한지영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벤처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은 무보증, 무등급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사모펀드는 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실제로 사모형 코스닥 벤처펀드는 대부분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적극 편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벤처펀드는 투자 문턱이 높은 데 비해 서민에게 더 걸맞은 혜택을 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소득공제형 상품이다. 1인당 3000만원까지 10%를 공제해준다.
기존 '벤처기업투자신탁'은 자산 가운데 50% 이상을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코스닥 벤처펀드는 기준을 크게 완화했다. 벤처기업 신주는 15%, 벤처기업 해제 이후 7년이 안 된 상장사 주식도 35%만 투자하면 된다. 코스닥 투자 비중이 50% 이상이면 공모주 물량도 30%를 우선적으로 배정해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장벽이 높아 아쉬움이 있다"며 "코스닥에 들어오는 돈을 늘리려면 지금보다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