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베트남 '젊은 관객', 韓멀티플렉스 영화관 CGV에 빠진 이유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송희 기자
입력 2018-07-27 10: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베트남 젊은 관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CJ CGV[사진=CJ CGV 제공]

베트남에 새로운 ‘한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베트남 관객들이 한국 멀티플렉스 영화관 CJ CGV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다. 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는 베트남 CGV 영화관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과 사랑받고 있는 이유를 들어보았다.

지난 6월 29일 CJ CGV는 베트남에서 2018년 누적 1천만 관객을 동원했다. 상반기에 누적 1천만 관객을 돌파한 것은 베트남 진출 이후 처음이다.

앞서 CJ CGV는 2015년 12월 베트남에서 최초로 1천만 관객 기록을 세운 후 2016년 9월, 2017년 8월에 각각 1천만 관객을 달성했다. 매년 1천만 관객 달성 시기를 앞당겨온 CGV는 올해에는 2개월 더 빠른 6월, 성과를 얻어냈다. 2015년 한 해 관람객이 1천만여 명 수준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3년 만에 2배 성장한 규모.

황재현 CGV 커뮤니케이션팀 팀장은 아주경제에 “최근 CGV 베트남점을 방문했다. 젊은 관객들이 많았고 생동감 넘쳤던 것이 가장 인상 깊었다”며 CGV 베트남점의 풍경을 언급했다.

이어 “베트남 경쟁사와 CGV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이 생동감이 아닐까 싶다. 경쟁사보다 많은 관객이 CGV를 찾고 있고 주류 관객이 2030 세대다. 이처럼 젊은 관객들이 활력을 더하고 있어 더욱 붐이 일어나는 것 같다”며 “한 관객에게 ‘왜 젊은 친구들이 CGV를 찾느냐’고 물었더니 ‘서비스가 좋기 때문’이라고 하더라. 본인의 친구들도 CGV만 찾는다며 최근 젊은 관객들이 CGV에 많은 관심이 있다고 하더라”고 CGV 베트남점의 상황을 귀띔했다.

이처럼 CGV는 베트남 젊은이들 사이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새로운 놀이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황 팀장은 “CGV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항상 오고 싶고, 즐겁고, 다양함이 있는 장소. 바로 멀티플렉스의 진정한 의미인 것 같다”며, “특히 CGV가 커플들에게 인기가 좋다. 날씨가 더운 나라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실내에서 데이트하게 되고 복합문화공간을 찾게 되는 것 같다. 단순 극장이 아닌 놀이 공간으로 다양한 즐길 거리를 찾는 것 같다”고 알렸다.

베트남 젊은 관객들에게 인기인 CGV의 전경[사진=CJ CGV 제공]


그러나 국내에서 큰 인기인 특별관의 경우 아직 베트남에서 반응을 끌지는 못하고 있다고. 황 팀장은 “베트남 관객들이 아직 영화를 보는 게 익숙지 않다 보니, 다양함을 시도하기에는 이른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어 황 팀장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베트남 관객들의 영화 관람율은 매우 저조한 편이었다. 그러나 베트남의 경제 성장률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영화·문화에 대한 관심도 올랐으며 1인 영화 관람 회차도 높아지는 등, 발전 가능성을 보이게 되었다. 관객의 70%가 2030 세대인 것만 보아도 문화 산업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대로라면 콘텐츠·특별관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3년간 CJ CGV 인프라 확대 측면에서도 베트남점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 2015년 30개에 불과했던 베트남 전체 CGV 극장 수는 3년 만에 57개까지 대폭 늘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CJ CGV 베트남 상반기 매출액은 2015년 연간 매출액 1조4000억 베트남동(약 740억원)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로 CJ CGV는 올해 베트남에서 연간 매출액 3조8000억 베트남동(약 1900억원), 70개 극장 운영을 목표하며 2015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같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하노이점과 호찌민점”이다.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으로 하노이 빈컴타워점은 95만 명, 호찌민 에이온떤푸셀라돈점은 74만 명의 관객수를 자랑한다.

CGV 베트남점의 인기로 경쟁사들 역시 이를 벤치마킹해 멀티플렉스영화관을 늘리고 있다고. 경쟁사들 역시 젊은 관객들을 겨냥하는 추세다.

황 팀장은 “기존 베트남 영화관도 별도 영화관, 복합영화관 등 다양했으나 영화관 자체가 많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CGV가 인기를 끌고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전세계 트렌드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복합몰을 중심으로 영화관을 만들고 있다. 더불어 CGV의 친절한 응대, 상영 기술, 관람 환경, 지리적 위치 등을 포함한 서비스 등을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