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으로 도시를 포위한다. 과거 마오쩌둥이 국공내전에서 쓴 전술이다. 국민당 세력이 뻗치지 못한 농촌 지역부터 장악해 그곳에서 실력을 키운 후 도시를 공략함으로써 중국 전체를 장악한 공산당은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화웨이는 이러한 마오쩌둥식 전술로 성공한 중국 최대 민간 통신장비업체다. 국유기업이 꺼리는 변두리 농촌지역에서 통신 비즈니스 사업을 확장한 후 도시를 공략한 것이다.
오늘날 미국의 봉쇄 작전에 맞서 화웨이가 글로벌 시장에서 취하는 전술도 이와 비슷하다. 즉, 개도국(농촌)으로 서유럽(도시)을 포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홍콩 명보(明報)는 미국의 봉쇄작전이 화웨이의 5G(5세대 이동통신) 영토 확장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23일 보도했다.
◆ '개도국'에서 '서유럽'으로 '5G 영토' 확장하는 화웨이
실제로 미국의 '보이콧' 공세 속에서도 화웨이의 글로벌 영토 확장세는 거침이 없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화웨이는 모두 20건이 넘는 5G 관련 사업계약을 체결했다. 또 전 세계 각국 50여개 이동통신사와 5G 테스트 협력도 진행 중이다.
현재 영국의 3개 이통사는 모두 화웨이 5G 장비를 도입할 것이라고 선언한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영국 최대 통신사 브리티시 텔레콤(BT) 그룹 산하 네트워크 제공업체 EE, 그리고 또 다른 영국 통신사 O2와 보다폰은 이미 화웨이 장비 테스트에 돌입했다.
O2의 경우, 내년 1월부터 5G 네트워크 시운영에 돌입하는데, 런던 200개 기지국에서는 기존의 노키아 장비 대신 화웨이 장비를 도입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정부는 미국의 화웨이 배제 요구에도 불구하고 화웨이를 자국 5G 네트워크 참여 금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채 여전히 검토만 하고 있다.
명보에 따르면 화웨이는 얼마 전엔 유럽 '통신거인' 앨티스포르투갈(Altice Portugal)과 5G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미국 이동통신사 티모바일은 이달 초 폴란드에서 화웨이 장비를 도입한 5G 네트워크를 선보였다. 이탈리아 최대 이통사인 텔레콤 이탈리아(TIM)도 정부에서 별 이견을 내놓지 않는 한 화웨이 장비를 계속해서 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이밖에 유럽의 몰타와 남태평양 파푸아뉴기니도 미국의 화웨이 '보이콧'에 아랑곳하지 않고 화웨이 통신 장비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유럽 지역에서 화웨이 '5G 영토'가 팽창할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 지역에 화웨이가 기술 경쟁력을 탄탄하게 쌓아온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현재 화웨이 통신장비가 가장 잘 팔리는 곳은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 지역이다. 통계에 따르면 화웨이의 170여개국에 포진한 고객 중 대부분이 개발도상국이다. 개발도상국 지역에 먼저 진출해 충분한 통신 기술 노하우를 쌓으며 고객 수요를 파악한 후 서유럽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 전 세계 5G 기술 선두주자···산간벽지까지 찾아가는 AS와 저가공세 '매력'
업계 전문가들은 화웨이가 △기술경쟁력 △완벽한 애프터서비스(A/S)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삼아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본다.
화웨이 장비가 개발도상국에서 유독 수요가 높은 건 우선 파격적인 가격 경쟁력 때문이다. 미국이나 유럽 기업들이 1달러에 하는 통신사업을 화웨이는 단돈 20~30센트에 하고 있다는 것. 통신업계 전문가들은 비용 문제로 앞으로 개발도상국은 계속해서 화웨이 장비를 사용할 것으로 내다본다. 명보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미국의 압박에 굴복해 화웨이 보이콧 대열에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내다봤다.
화웨이의 우수한 A/S도 매력적이다. 화웨이 기술부대는 지난 2011년 리비아 내전 때 철수하지 않고 오히려 교전 지역의 통신망 유지 보수를 했다. 같은 해 동일본 대지진 때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지역 주변에서 긴급 통신 복구로 평판을 높인 것으로 유명하다.
게다가 화웨이는 이미 5G 방면에서 글로벌 기술 선두주자로 꼽힌다. 앞서 영국 BT 닉 맥레 최고소프트웨어아키텍트(CSA)는 "화웨이는 현재 전 세계 유일무이한 진정한 5G 기술 공급업체로, 나머지 기업들은 (화웨이) 5G기술을 뒤쫓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특히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화웨이는 한해 매출의 15%를 연구개발(R&D)에 쏟아붓는 것으로 유명하다. 올 한해 R&D에만 160억 달러(약 18조원)를 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화웨이는 전 세계 5G 표준 관련 기구에 5명의 주석과 부주석을 둘 정도로 발언권도 세지고 있다고 명보는 전했다.
◆ "돈줄까지 차단" 노골적인 미국의 화웨이 '고사작전'
이것이 바로 미국이 중국 '5G 굴기' 선두주자인 화웨이를 '견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 세계 5G 패권 장악을 노리는 미국으로선 화웨이가 위협적이기 때문.
그래서 화웨이의 세력 확장을 막으려는 미국의 봉쇄작전은 올 들어 더 노골적이다. 이달 초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를 내세워 화웨이 후계자 '0순위'이자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멍완저우 부회장을 캐나다에 요청해 현지에서 전격 체포한 게 대표적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동맹국에 화웨이 장비 구입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미국은 물론, 일본,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에서는 이미 화웨이 장비 사용 금지를 선언한 상태다.
사실 미국은 화웨이가 중국 공산당과의 밀접한 커넥션을 가지고 있다는 의혹을 줄곧 제기해 왔다. 화웨이가 비록 민간기업이긴 하지만 증시에 상장도 안돼 기업 지배구조가 불투명한데다가 화웨이 창업주 런정페이가 인민해방군 통신 장교 출신이기 때문. 미국으로선 이것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보고 다방면에서 화웨이를 압박하는 것이다.
심지어 최근엔 미국의 화웨이에 대한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 수사가 확대되자 HSBC, 스탠다드차타드가 화웨이와의 금융 거래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되는 회사로 낙인 찍힌 화웨이와 금융 거래를 중단하는 글로벌 은행이 더 늘어날 경우 화웨이가 전 세계 170개국에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 화웨이 측은 "현재 회사 경영은 매우 안정적으로 모든 게 정상적"이라며 "글로벌 금융협력 파트너와 업무협력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