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올해 수출, 동남아 ‘UP’ 중국 ‘Down’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창범 기자
입력 2019-01-30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기중앙회, 상반기 수출 전년과 ‘비슷’ 전망… 타깃 신흥시장은 ‘동남아’

우리나라 수출 중소기업들이 동남아시아에서 뜨고 중국에선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2019년 중소기업 수출전망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출 증가 예상 국가로 동남아를, 수출 감소 예상 국가로 중국이 지목됐다. 2019년 상반기 중소기업 전체 수출전망에 대해서는 ‘전년과 비슷’(48.9%) 할 것으로 예상했다. ‘증가’ 전망은 33.5%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2019년 상반기 수출 전망.[그래프= 중기중앙회]


‘수출 증가’를 전망한 업체에 증가가 예상되는 국가를 설문한 결과에서는 36.4%가 동남아를 꼽았다. 또 ‘수출 감소’를 전망한 업체는 수출 감소 예상 국가로 38.7%가 중국을 지목했다.

2019년 수출에 가장 영향을 미칠 대외리스크로는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내수침체(26.0%)’가 꼽혔다. 이어 ‘아세안 등 신흥시장에서 한중일 경쟁 격화’(20.3%)와 ‘미중 분쟁으로 중국제품의 제3국 시장 공급확대’(19.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한 중소기업 차원의 대응전략으로는 ‘바이어 철저 관리 및 계약시 리스크 조건 반영’(39.0%), ‘신흥시장 등지로 수출 포트폴리오 재구성’(29.3%) 등이 선택됐다.

또한 수출 중소기업들은 2019년 수출 확대를 위해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신흥시장 개척지원(시장정보, 마케팅) 확대’(66.3%)와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해외시장 정보제공’(45.1%) 등을 요청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2019년 중소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타깃 신흥시장으로는 동남아시아(39.9%)가 꼽혔다. 거래 품목군별로는 전자‧전기(35.0%), 기계류(48.3%), 플라스틱 고무 및 가죽제품(31.3%), 화학공업제품(42.4%), 농림수산물(65.0%), 생활용품(42.9%) 잡제품(55.6%) 등 대다수 품목(철강금속, 섬유류, 의료기기 제외)에서 타깃시장으로 동남아시아를 지목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통상산업본부장은 “올해도 미중분쟁 등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지만 중기 수출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해 수출전망이 나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대다수 중소기업 수출 품목군에서 2019년 타깃 신흥시장으로 동남아시아를 꼽은 만큼 이 지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수출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