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예술회관 <장사익 콘서트 – 자화상 七> 공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흥서 기자
입력 2019-02-25 09: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월9일 소리꾼 장사익이 선사하는 한 길 노래 속 인생사

장사익 소리판 <자화상七>이 오는3월9일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관객들을 맞이한다.
2016년 <꽃인 듯 눈물인 듯> 이후 2년 만에 찾아오는 반가운 판이다.

1집 「하늘 가는 길」 발표 이후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에서 애국가를 부르기까지의 24년 세월 동안 장사익이 걸어 온 한길 노래 속 인생사를 만나 볼 수 있다.

공연은 지난 가을 발매한 9집 음반에 수록된 곡들로 구성된다. 동명의 타이틀곡 윤동주의 ‘자화상’과 허영자 ‘감’, 기형도 ‘엄마걱정’, 곽재구 ‘꽃길’ 등의 신곡들을 비롯해 그만의 소리로 엮어낸 흘러간 가요들도 함께 올려 진다.

소리판 음악인들도 반갑다. 15년을 함께한 기타리스트 정재열 음악감독을 필두로 한국 재즈의 거장이자 트럼펫연주가 최선배, 아카펠라그룹 ‘The Solists’ 등 15인의 음악인들이 장사익과 함께 연주한다.

▶인생여정 돌고 돌아 45세, 드디어 운명처럼 노래인생을 시작한 사내.
그에겐 괜히 미운 과거가 있다. 삶과 꿈의 기로에서 삶의 편을 들어줬는데 어째선지 자신에게만 등을 돌리는 것 같았던 젊은 날의 삶이 그랬다. 차오르는 괴로움을 무던히 삼켜내야 했지만 채 넘기지 못한 눈물들은 목에 붙어 굳어졌고 결국 소리가 되었다. 그렇게 1집 「하늘 가는 길」과 대표곡 <찔레꽃>이 세상에 알려졌다. 그때 나이 45세. ‘장사익 소리판’의 시작이었다.

1994년 첫 소리판 <하늘 가는 길> 이후부터 음반 발매에 맞춰 전국을 돌았다. 생으로 노래하기 위해서였다. <허허바다>, <사람이 그리워서>, <역>, <꽃구경> 등 꾸준히 행복한 판을 벌였고 청중은 절절히 열광했다. 그러던 2015년, <찔레꽃> 전국순회 공연을 끝내고 나니 성대에 이상이 왔다. 그의 목에 자리한 혹을 도려낸 후 다시 무대에 오를 수 있게 되기까지, 관객들은 스피커가 부르는 장사익의 노래로 갈증을 삭힐 수밖에 없었다.

▶자화상, 어쩐지 미워졌던 우물 속 그 사나이를 마주보며
그가 곁에 두고 읽는 시집들 속에 윤동주의 시 <자화상>이 있다. 오래전부터 읽어왔는데 어느 날 유독 그의 가슴에 박혔다. 거울 속 주름진 얼굴을 바라보다가 문득 70이라는 나이가 무겁게 다가왔다. 인생의 마지막 쿼터.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마음이 다급해졌다는 그가 만난 시인이 윤동주였고, <자화상>이라는 시였다. 거울에 비친 깊이 패인 주름을 보면 지난 세월들이 영상처럼 지나가고 부끄러운 세월들이 떠오를 때면 고개를 돌리고 싶지만, 다시금 마주할 수밖에 없는 자신을 보았다고 한다.

그는 잠시 멈추어 서서 주름진 얼굴처럼 켜켜히 쌓인 자신의 삶을 찬찬히 돌아보는 마음으로 청중 앞에서 노래하려 한다. 장사익이 선사하는 한 길 노래 속 인생사 <자화상七>. 오는 3월 9일 토요일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만날 수 있다.
 

[1]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