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5일은 '세종대왕 나신 날'…광화문 일대서 첫 잔치

  • 세종대왕이 사랑한 독서, 음악, 애민 정책 등 공연과 전시

  • 올해부터 '세종문화상'도 수여

문화체육관광부 용호성 제1차관이 5월 14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세종대왕 나실 날 축하행사에 참석해 축하 인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용호성 제1차관이 5월 14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세종대왕 나실 날' 축하행사에 참석해 축하 인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5월 14일과 15일 광화문광장과 경복궁에서 ‘628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11월 19일, ‘세종대왕 나신 날(5. 15.)’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첫 국가 잔치로 진행한다.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 15일에는 경복궁 흥례문 앞 광장에서 기념식을 열어 공연과 전시·체험 행사로 세종대왕의 위대한 유산을 되새기고 세종대왕의 깊은 애민·자주·실용·실천 정신을 기린다. 

어린이 합창단의 마중 공연 후 대취타로 기념식의 막을 올린다. 이어 ‘백성을 위한 혁신, 세종’을 주제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미래 기술을 접목한 염동균 작가의 확장현실(XR) 공연, 전통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은 축하 공연 등을 진행한다. 국립국악원 정악단과 무용단, 청년교육단원 등 54명은 <용비어천가>의 가사에 맞춰 작곡한 음악과 궁중 무용인 봉래의(鳳來儀)를 선보이고 소리꾼 장사익과 어린이 합창단은 기성세대와 미래세대를 대표해 축하 노래를 함께 부른다. 

15일 오후 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경복궁 흥례문 광장 일대에서는 ‘인간 세종, 이도가 사랑했던 것들, 독서, 음악, 백성, 훈민정음’을 주제로 한 전시와 ‘대왕 세종, 백성을 사랑해서 남긴 유산’을 주제로 한 체험행사 등이 열린다.

올해부터는 매년 10월 한글주간에 시상해 왔던 ‘세종문화상’을 ‘세종대왕 나신 날’에 시상한다. ‘세종문화상’은 세종대왕의 위업을 높이 기리고 세종의 애민·자주·실용·실천 정신을 계승해 한국문화의 창조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1982년에 제정한 상이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제44회 세종문화상’ 수상자로 평생을 우리말·글 발전을 위한 시민 운동을 펼치고 한글과 우리말을 살리는 일에 앞장서 온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이대로 씨 등을 선정해 시상한다.

용호성 차관은 “시민들과 함께 세종대왕의 탄신을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그분의 위대한 정신과 가르침이 널리 확산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는 국립국어원과 한글박물관, 전국 22개 국어문화원, 지자체, 전 세계 세종학당 등, 관련 기관들도 함께 국내외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