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25일 인천 송도 소재 공장의 항체 생산 설비를 개선해 생산성을 높였다며, 연간 4조원 규모 이상의 항체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사진=셀트리온 홈페이지]
회사는 향후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항체 바이오의약품 수요가 크게 늘 것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셀트리온은 인천 송도 소재 1공장의 5만 리터 규모 항체 생산 설비를 개선해 생산성을 높였다며 이 같이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를 통해 연간 약 450억원에 달하는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 기간 신규 설비 연계 공사 외에 기존 설비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설비 개선 공사를 별도로 진행해 왔다.
그 결과 기존 설비의 생산성이 향상됐으며, 1공장 5만 리터 설비의 연간 최대 생산 가능 배치로 램시마 생산을 가정할 때 약 450억원 상당 항체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셀트리온은 전했다.
셀트리온은 또 기존 설비의 오염 위험을 제거하는 설비 개선과 공정 효율화 작업,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 작업도 병행했으며, 이를 통해 연간 약 5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추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셀트리온은 1공장 기존 설비에 반영된 개선 사항은 2공장 건설 및 설비 개선 당시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높은 생산 수율 증가 등 개선 효과를 이미 확인했했다. 증설 중인 1공장 신규 설비에도 동일한 설비 개선 노하우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1공장 개선작업 및 증설 연계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2월 초부터 기존 5만 리터 설비의 생산을 본격 재개했다.
또 추가 증설 중인 5만 리터 설비의 밸리데이션(Validation)을 진행 중이다. 올해 상반기 내 추가 5만 리터 설비 준공과 하반기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1공장 증설 연계를 위한 짧은 가동 중단 기간을 활용해 기존 설비에 약 90여건에 이르는 다양한 개선을 실시했다”면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생산 능력을 4조원 이상으로 늘려 폭발적으로 늘어날 글로벌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노력의 일환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총 19만 리터 규모에 이르는 양적 생산 능력뿐 아니라 질적 생산 능력까지 배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