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공수처 설치가 검찰개혁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고, 만일 설치에 성공한다면 오히려 개혁과는 반대방향으로 갈 위험성이 크다"고 밝혔다.
금 의원은 "검찰개혁의 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는데 아직도 마치 공수처 설치 여부라는 하나의 기준에 검찰개혁의 성패가 달린 것처럼 오해하는 분들이 계시다"고 했다.
금 의원은 공수처 설치 반대의 이유로 △새로운 권력기관을 만든다는 점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다는 점 △공수처의 악용 위험성이 크다는 점 등을 들었다.
금 의원은 또 "일정한 직급 이상의 고위 공직자를 수사 및 기소하는 공수처는 전세계 어느 국가에도 없다"며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이 지켜지고 있다. 잘 되고 있는 국가들의 예를 따라서 우리 제도를 고치면 되지 굳이 세계 어느 곳에도 없는 제도를 만들어서 실험을 할 필요가 무엇이냐"고 했다.
'악용 위험성'에 대해선 "문재인 정부에서 공수처가 만들어지더라도 청와대가 악용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제도는 선의를 기대하고 설계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시절 우병우 전 민정수석을 거론, "우 전 수석 체제에서 만약 공수처가 있다면 정말 상황이 더 나아졌을까? 훨씬 더 나빴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금 의원은 검찰 수사권 폐지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대한민국 검찰에서 수사권을 폐지하거나 대폭 축소하면 바로 개혁이 이뤄진다. 모든 선진국이 이런 방식으로 검찰 권력을 통제하고 있는데 왜 우리만 안 된다는 것인지 저로서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수처 설치에 대해서 토론을 하고 싶다"며 "공수처와 같은 권력기관의 설치는 매우 중대한 문제이고 적어도 찬반론의 치열한 논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상토론, 방송 등 어떤 형식이라도 환영한다"고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11/20190411180735271229.jpg)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