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40개의 중앙행정기관과 5개의 공공기관 등이 이전한 세종특별자치시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광역자치단체 출범 해인 2012년 12월 621만 원에서 5년 후(2017년 12월) 1230만원까지 올라 98%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은 27.7%(1016만 원⟶1298만 원)으로 상승률만 놓고 보면 세종시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공공기관 인근 단지들의 매매가 상승 폭도 크다. 정부세종청사가 위치한 어진동에 들어선 '세종 더샵 센트럴시티' 전용 8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기준 2016년 4월 3억9000만 원(13층)에 거래된데 이어 2019년 4월 6억3700만 원(15층)에 거래돼 최근 3년 간에만 63.3%의 상승률을 보였다.
2013년 5월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을 시작으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민연금공단 등 12개의 공공기관이 이전한 전북혁신도시도 마찬가지다. 전북혁신도시 내 들어선 '호반베르디움 더센트럴 1단지' 전용 84㎡형은 2016년 10월 2억5500만 원(11층)에서 2019년 2월 3억4300만 원(12층)에 팔려 34.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인천 제2청사 호재를 갖춘 인천 루원시티에서 작년 10월 공급한 '루원시티 SK리더스뷰' 역시 1순위 청약에서 평균 24.4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같은해 12월 세종시 어진동에서 공급한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도 평균 72.6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 마감했다.
이달에도 공공기관 이전 및 신설 수혜가 기대되는 인천 루원시티, 평택 고덕신도시, 세종시 등서 신규 분양 물량이 예정됐다. 우선 인천지방국세청 독립청사 건립(2025년 준공 예정)이 확정된 인천시 서구 루원시티에서는 신영이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를 공급할 예정이다. 루원시티 주상복합 3블록에 조성되며, 지하 3층~지상 최고 49층, 5개동, 전용 84㎡ 단일면적 총 778가구 규모로 구성된다. 루원시티에는 8∼9개의 관공서와 산하기관의 입주가 검토중인 인천 제2청사 등의 개발호재도 예정돼 있다.
또한 평택시청 등 주요 관공서가 입주하는 행정타운이 들어서는 경기도 평택시 고덕국제신도시에서는 동양건설산업이 '고덕 파라곤 2차'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 2월 행정안전부가 이전을 완료한데 이어 올해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전이 예정된 세종시에서는 우미건설이 '세종 린스트라우스', 금호건설과 신동아건설은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을 각각 공급할 예정이다.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 조감도 [이미지= 신영]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